한국CXO연구소, 1984~2023년 40년간 상장사 매출 상위 50위 기업 분석
톱50 클럽 매출 규모 40년 새 30배 이상 성장…주인 바뀌거나 사라진 기업도 많아
[데일리인베스트=권민서 기자] 국내 대기업 중 1984년부터 매출 50위권을 지켜온 기업이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등 7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삼성전자는 22년간 국내 매출 1위를 기록했다. 1984년 매출 50위권 기업 중 90%는 2023년 순위권에 들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24일 한국CXO연구소는 ‘1984~2023년 40년간 상장사 매출 상위 50위 대기업 변동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금융 업종 제외 제조·서비스 산업군의 연도별 매출 상위 50위 상장사다. 경영 악화 등으로 주인이 바뀐 곳은 제외됐다.
1984년 매출 50대 기업의 총 매출액은 34조원 수준이었지만 2023년에는 1044조원으로 30.4배 불었다. 또한 40년 전에는 매출 2000억원 수준의 기업이 50위권에 들 수 있었는데 2023년에는 5조원 이상으로 높아졌다.
지난 40년간 의류(섬유), 식품, 주택(건설) 등 내수 중심의 의식주 업종은 1980~1990년대 주목받으며 성장해왔다. 이후 무역상사 업체들이 주도하다가 삼성전자·SK하이닉스·LG전자 중심의 정보기술(IT)과 현대차·기아 자동차 등 글로벌 경쟁력이 강한 업종 중심으로 무게추가 이동한 것으로 파악됐다.
1984년에는 건설사 14곳이 5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2023년에는 3곳에 불과하다. 현대종합상사, 대우, 삼성물산 등 무역상사 기업 10여곳도 1990년대까지 다수 있었으나 2010년대 이후로는 3곳가량이 존재한다.
섬유(패션)와 식품업도 주력 업종에서 밀려났다. 1980년대에는 5~6곳이었으나 1990년대 중반이 지나면서 매출 50위권에 들기 어려워진 것이다. 식품 업체도 1980년대 5곳에서 현재는 CJ제일제당만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CJ제일제당은 2010년 초에 50위권에 들지 못해 40년 연속으로 이름을 올리진 못했다.
반면, IT 관련 업종 성장세는 눈에 띄게 빨랐다. 1980년대 5곳 내외에서 2023년 10곳으로 두 배 많아졌다. 조선·해운·항공·물류 등 운송 업종도 2~3곳에서 6~8곳으로 늘었다. 석유화학과 전기·가스·축전지 등 에너지, 자동차, 유통 업종도 2020년대에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1984년 50위권 대기업의 86%(43곳)는 2023년에 순위권에 들지 못하거나 주인이 바뀐 것으로 확인됐다. 1984년 1위였던 대우가 대표적이다. 대우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대우인터내셔널과 대우건설로 분리됐다. 대우인터내셔널은 포스코 그룹에 편입돼 포스코인터내셔널로 변경됐으며 대우건설은 중흥건설에 들어갔다.
1984년 10위였던 국제상사는 현재 LS네트웍스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지만, 2023년 매출 500위권 밖으로 밀렸다. 동아건설산업(19위)과 삼환기업(22위)는 현재 SM(삼라마이다스) 그룹이 품었다. 동양맥주(24위)는 오비맥주로 사명이 변경됐으며 외국계 기업으로 넘어갔다. 미륭건설(31위)은 동부건설로 바뀌었으며, 극동건설(38위)과 남광토건(34위)은 세운건설그룹이 운영 중이다.
40년간 매출 50위권에 연속으로 이름을 올린 기업은 7곳이다. △삼성전자(1984년 8위→2023년 1위) △현대자동차(15위→3위) △LG전자(9위→8위) △삼성물산(3위→2018년 11위) △LG화학(18위→14위) △현대건설(4위→19위) △대한항공(11위→21위)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2023년 매출 170조3704억원으로 1984년 1조3615억원에서 130배 이상 외형이 성장했다. 지난 2002년부터 국내 매출 1위 기업으로 자리를 지키는 중이다. 또한 2023년 매출 50위권에 금융 업종을 제외하고 삼성 계열사가 7곳으로 가장 많았다. 현대차와 LG 그룹은 각각 6곳, SK 그룹은 4곳이 진입했다.
1984~2023년에 매출 1위 왕좌 자리에 오른 기업은 4곳이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대우, 현대종합상사, 삼성물산이다. 대우는 1984년과 1998년 2회, 현대종합상사도 1999년과 2000년 2회에 걸쳐 1위를 기록했다. 삼성물산은 1985년 첫 1위 이후 2001년까지 14번이나 왕좌에 올랐다. 2002년부터는 삼성전자가 줄곧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기업 생태계는 마치 갑각류가 탈피 과정을 거치면서 성장해 나가는 것처럼 적절한 시기에 혁신과 변화라는 탈피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시장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며 “특히 기업의 운명을 짓는 매우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경영진의 판단과 결정에 의해 좌우되는 경우가 높기 때문에 뛰어난 리더를 내부에서 지속 육성하거나 혹은 외부에서 영입해 변환기에서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고 기업의 물적·인적자원을 집중해 성과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사이드뉴스] 삼성, 지난해 매출 400조원 달성…2022년 이후 가장 높아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사외이사 고위공직자 출신 비중↑…교수 출신은 줄어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여성 직원 수 4명 중 1명에 불과…연봉은 남성 대비 70%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사외이사 516명, 상반기 임기만료…재선임·퇴임 갈림길
- [인사이드뉴스] 삼성전자 평균 연봉 1억2800만원…지난해 신규 채용 1만명↑
- [인사이드뉴스] 시프트업 김형태 대표, 개인 주식재산 1조원↑…지난해 신규 상장 영향
- [인사이드뉴스] 국내 대기업 캐나다·멕시코 법인 201곳에 달해…관세폭탄 영향은?
- [인사이드뉴스] 100대 기업 여성 사외이사 증가세 꺾여…1년 새 3명↑
- [인사이드뉴스] 시가총액 1조 클럽 19곳 감소한 240개…SK하이닉스 20조 이상↑
- [인사이드뉴스] 그룹 총수 44명 주식가치 60% 하락…1년 새 6조6000억원↓
- [인사이드뉴스] 300대 기업 사외이사 억대 연봉 60명대→70명대로 증가
- [인사이드뉴스] 그룹 총수 43명 주식재산 1810억원↓…하이브 방시혁 5000억원 늘어
- [인사이드뉴스] 1분기 상장사 전체 시총 70조원↑…10곳 중 6곳은 하락
- [인사이드뉴스] 비오너 30명 주식재산 100억원↑…크래프톤이 1~3위
- [인사이드뉴스] 작년 상장사 매출 1997조원으로 역대 최고…삼성전자 23년째 1위
- [인사이드뉴스] 1000대 상장사 영업이익 150조원…SK하이닉스 사상 첫 1위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고용 규모 3만3000명↑…삼성·현대차 늘고 SK·LG 줄어
- [인사이드뉴스] 최태원 SK 회장, 그룹 영업이익 1위…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앞서
- [인사이드뉴스] 44개 대기업 총수 주식재산 16조원↑…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1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