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CXO연구소, 92개그룹 총수 대상 작년13개 항목별 경영 성적 분석
SK그룹 순익 증가율도 1위…삼성그룹은 매출·당기순익·고용 3개 부문에서 1위
[데일리인베스트=권민서 기자] 지난해 국내 대기업 총수의 경영 성적을 분석한 결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삼성그룹이 매출·당기순이익·고용 3개 항목에서 1위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에서는 최태원 SK 회장의 SK그룹이 삼성을 근소한 차이로 앞서며 처음으로 1위 자리에 등극했다.
25일 한국CXO연구소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도 그룹 총수 경영 성적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그룹 총수는 92개 대기업 집단이며 평가는 총 13개 항목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조사 결과 국내 삼성 계열사는 매출 399조6362억원, 당기순이익 41조6022억원과 국내 전체 고용 인원 28만4761명으로 삼성그룹이 최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3개 항목 외에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영업이익 증가율 846.5%를 기록해 그룹 총수 중 세 번째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전체 영업이익은 최태원 SK 회장의 SK그룹이 삼성을 아주 근소한 차이로 제치며 1위에 올라섰다. 지난해 SK그룹 영업이익은 27조1385억원으로, 삼성 27조352억원 대비 불과 0.4% 차이로 앞섰다. 이는 SK하이닉스(21조3314억원) 영업이익이 삼성전자(12조3610억원)보다 9조원 이상 증가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아울러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SDI에서 감소한 영업이익 규모만 1조9596억원에 달해 그룹 영업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룹 전체 당기순이익 증가율에서도 최태원 SK 회장은 1위를 차지했다. SK는 지난해 당기순이익 18조 3595억원으로 전년 6582억원 대비 2689.1% 퀀텀점프했다.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이 그룹 전체 당기순이익에도 영향을 미친 셈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매출(292조1195억원)과 당기순이익(23조7712억원), 고용(20만3915명) 항목에서 삼성 다음으로 2위를 기록했다. 2023년에 1위를 차지했던 영업이익 부문에서는 3위로 순위가 다소 밀려났다.
각종 증가율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총수는 따로 있다. 매출 증가율과 영업이익 증가율에서는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과 박정석 고려에이치씨 회장이 각각 톱 자리를 차지했다.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지난해 매출 규모가 8조4668억원으로 전년 4조2239억원 대비 100.4% 커졌다. 여기에는 지난해 매출 3조6252억원의 한온시스템을 품은 것이 주효했다.
고려에이치씨는 지난해 그룹 영업이익 7029원으로 전년 453억원에서 1450.3% 수직상승하며 영업이익 증가율 1위를 차지했다. 고려해운과 고려에이치씨 두 회사의 역할이 컸다. 고려해운은 2023년 영업손실 411억원에서 1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해 영업이익 4113억원을 기록했고, 같은 기간 고려에이치씨도 영업이익이 397억원에서 2450억원으로 뛰었기 때문이다.
영업이익률과 순익률에서는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이 1위를 거머쥐었다. 크래프톤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7512억원, 1조2083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43.9%나 차지하며 그룹 총수 중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이어 이정훈 전(前) 빗썸홀딩스 의장이 총수로 있는 빗썸(39.7%)과 유정현 이사회 의장이 이끄는 넥슨(32.8%)도 지난해 그룹 총수 중 영업이익률 톱3에 올랐다. 순익률도 1~3위가 동일했다.
1인당 매출은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36억3500만원)이 가장 높았다. 1인당 영업이익과 1인당 당기순이익은 각각 문주현 엠디엠그룹 회장(9억4100만원), 정춘보 신영그룹 회장(6억1500만원)이 1위를 기록했다.
4대 그룹 총수만 따로 살펴보면 매출 증가율을 비롯해 영업이익 증가율, 당기순이익 증가율 3개 항목에서 최태원 SK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회장이 증가세를 보였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증가세를 보였지만 순이익은 하락했다. 반면 구광모 LG 회장은 매출은 증가했지만 영업손익에서 2년 연속 적자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했고, 당기순이익도 적자로 전환해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최근 2년 연속으로 삼성은 그룹 영업이익 규모에서 1위 자리를 놓쳤고, LG는 지난해 그룹 영업손익과 당기손익이 적자를 기록해 다소 침울한 한 해를 보냈다”며 “특히 2025년 올해는 삼성이 그룹 영업이익 1위를 재탈환할 것인지 아니면 SK그룹이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에 힘입어 2년 연속 1위를 지켜낼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고용 규모 3만3000명↑…삼성·현대차 늘고 SK·LG 줄어
- [인사이드뉴스] 1000대 상장사 영업이익 150조원…SK하이닉스 사상 첫 1위
- [인사이드뉴스] 작년 상장사 매출 1997조원으로 역대 최고…삼성전자 23년째 1위
- [인사이드뉴스] 비오너 30명 주식재산 100억원↑…크래프톤이 1~3위
- [인사이드뉴스] 1분기 상장사 전체 시총 70조원↑…10곳 중 6곳은 하락
- [인사이드뉴스] 그룹 총수 43명 주식재산 1810억원↓…하이브 방시혁 5000억원 늘어
- [인사이드뉴스] 300대 기업 사외이사 억대 연봉 60명대→70명대로 증가
- [인사이드뉴스] 삼성전자, 22년간 국내 매출 1위…40년 연속 톱50 유지 기업 7곳
- [인사이드뉴스] 삼성, 지난해 매출 400조원 달성…2022년 이후 가장 높아
- [인사이드뉴스] 44개 대기업 총수 주식재산 16조원↑…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1위
- [인사이드뉴스] 2분기 시총 532조원 증가…SK하이닉스 3개월 새 73조원↑
- [인사이드뉴스] 국내 기업의 美 현지 법인 26%로 최다…전체 해외 법인 수 6360곳↑
- [인사이드 뉴스] 이재용 회장, 주식재산 18조원 돌파…李 대통령 취임 100일만
- [인사이드 뉴스] 대기업 총수 45명 주식재산 3개월 새 4조 늘어
- [인사이드 뉴스] 임기만료 앞둔 30대 그룹 사내이사 1269명…CEO는 596명
- [인사이드 뉴스] 김낙수 부장의 한숨…올해 100대 기업 임원될 확률 0.82%
- [인사이드뉴스] 2026년 대기업 인사는…70년대생 고위 임원·80년대생 임원 진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