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코써치, 2024년 국내 100대 기업 사외이사 현황 분석 결과 발표
여성 사외이사 보유 기업 2곳 증가…임원 진출 비율은 0.2%p↓
[데일리인베스트=권민서 기자] 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 내 여성 사외이사는 전년 대비 3명 증가한 11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합쳐 100대 기업 내 여성 비율은 1년 새 0.2%포인트(P) 떨어지며 하락세로 돌아섰다.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는 22일 ‘2024년 기준 국내 100대 기업 사외이사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100대 기업 전체 사외이사 인원은 454명이며 이 중 110명이 여성 임원이다. 전체의 24.2% 수준이다.
100대 기업 내 여성 사외이사는 지난 2020년 35명(7.9%), 2021년 67명(15%), 2022년 94명(21%), 2023년 107명(23.7%)으로 증가했으며, 2024년에는 전년 대비 3명 늘어난 110명이다. 또한,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모두 합산해 여성이 1명이라도 존재하는 기업은 95곳이다.
문제는 상당수 대기업이 여성 등기임원을 최소 인원인 1명만을 채우려다 보니, 여성 등기이사 증가세가 한계점에 다다랐다는 점이다. 지난 2022년 8월부터 자산 2조원이 넘는 기업 이사회를 특정 성별로만 채워서는 안 된다는 관련 법 규정이 본격 시행됐다. 최소 1명 이상의 여성을 등기이사 자리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의미다.
법 시행으로 여성 사외이사는 전년 대비 5%p 이상의 증가세를 보여왔지만, 2023년 2%p대로 낮아졌으며 2024년에는 1%p 미만으로 떨어졌다. 실제로 지난해 100대 기업 이사회에서 여성 사외이사를 단 1명만 둔 곳은 70곳이나 됐다.
전체 110명의 여성 사외이사 중에서는 1964년생·1971년생·1972년생이 각각 8명씩으로 가장 많았다. 대표적으로 1964년생 중에는 △강정혜 LG디스플레이 △이행희 포스코인터내셔널 △최윤희 현대차 사외이사, 1971년생 중에는 △강수진 LG전자 △남혜정 롯데케미칼 △정소민 기업은행 사외이사, 1972년생에는 △한애라 SK하이닉스 △김연미 이마트 △윤종원 GS리테일 사외이사 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학계 출신이 51.8%(57명)로 최다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계(19.1%, 21명)와 법조계(18.2%, 20명) 출신이 뒤를 이었다. 고위공직자 출신은 △박순애 전 부총리겸 교육부장관(KG모빌리티) △정현옥 전 고용노동부 차관(풍산) △이인실 전 통계청장(한화생명) 등이 있었다.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포함한 전체 이사회 인원은 모두 766명이다. 이 중 여성은 120명이었다. 특히 △이정애 LG생활건강 △최수연 네이버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대표이사는 100대 기업 내 비(非)오너 중 최고경영자(CEO)급에 해당됐다.
100대 기업 이사회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15.7%다. 여성 임원 비율은 2020년 5.2%, 2021년 9.2%, 2022년 13.7%, 2023년 15.9%로 꾸준히 증가해왔는데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0.2%p 하락했다.
100대 기업 내 여성 등기임원 증가세가 한풀 꺾인 셈이다. 100대 기업의 경우 이미 상당수 기업에 여성 사외이사 법률로 정한 여성 임원 1명씩은 채워진 상태고, 사내이사로 진출하는 인원은 손에 꼽다 보니 2~3년 내 여성 등기임원 20%를 넘기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경희 유니코써치 전무는 “대기업 등에서 사외이사를 선임하려고 할 때 법적 요건과 직무 전문성을 갖춘 여성 인재가 제한적이다 보니 여성 인재풀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며 “투명하고 신뢰받는 지배구조 구축을 위해 다양한 산업과 직무에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여성들이 사외이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후보군을 체계적으로 확대하고 관리하는 방안 함께 사외이사 영입 이후에 전반적으로 이사회 구성원 전체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평가 등도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사이드뉴스] 시가총액 1조 클럽 19곳 감소한 240개…SK하이닉스 20조 이상↑
- [인사이드뉴스] 그룹 총수 44명 주식가치 60% 하락…1년 새 6조6000억원↓
- [인사이드뉴스] 내년 CEO 110명 뱀의 해 맞아…100억원 이상 주주는 86명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여성 임원 5.5% 늘어…삼성전자 81명으로 최다
- [인사이드뉴스] 100대 기업 임원 승진 확률 0.84%…직원 119명당 1명꼴
- [인사이드뉴스] 올해 100대 기업 임원 수 7400명↑…2010년 이후 최다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사내이사 1100명, 내년 상반기 임기만료…CEO는 500명
- [인사이드뉴스] 현대차, 20대 직원 증가율↑…SK하이닉스는 50대 직원 수 확대
- [인사이드뉴스] 주식종목 10곳 중 7곳 시총↓…3분기 시총 189조원 감소
- [인사이드뉴스] 국내 대기업 캐나다·멕시코 법인 201곳에 달해…관세폭탄 영향은?
- [인사이드뉴스] 시프트업 김형태 대표, 개인 주식재산 1조원↑…지난해 신규 상장 영향
- [인사이드뉴스] 삼성전자 평균 연봉 1억2800만원…지난해 신규 채용 1만명↑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사외이사 516명, 상반기 임기만료…재선임·퇴임 갈림길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여성 직원 수 4명 중 1명에 불과…연봉은 남성 대비 70%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사외이사 고위공직자 출신 비중↑…교수 출신은 줄어
- [인사이드뉴스] 삼성, 지난해 매출 400조원 달성…2022년 이후 가장 높아
- [인사이드뉴스] 삼성전자, 22년간 국내 매출 1위…40년 연속 톱50 유지 기업 7곳
- [인사이드뉴스] 300대 기업 사외이사 억대 연봉 60명대→70명대로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