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CXO연구소, 국내 주요 대기업 연령대별 인력구성 변화 결과 발표
기아·포스코 20대 직원↑…SK하이닉스·HD현대중공업 등은 50대 늘어
LG이노텍·삼성전기, 20대 직원 비중 40% 이상
[데일리인베스트=권민서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의 연령대별 인력구성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를 비롯해 포스코 등은 20대 직원은 늘지만 50대는 감소세다. 반면, SK하이닉스와 HD현대중공업, 대한항공 등은 50대 직원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17일 한국CXO연구소는 ‘2021~2023년 주요 대기업 연령대별 인력구성 변동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은 고용 규모 1만명 이상의 주요 대기업 16개다. 연령대는 △20대 이하 △3040세대 △50대 이상으로 구분했다. 삼성전자는 50대 이상 인력 규모를 파악하기 어려워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지난해 12만3721명을 고용한 현대차는 조사 대상 기업 중 직원 수가 가장 많았다. 3040세대가 50.8%(6만2792명)로 가장 비중이 컸으며, 50대 직원은 27.4%(3만3950명), 20대는 21.8%(2만6979명)다.
현대차는 지난 2021~2023년 사이 20대 직원은 증가하고 50대 직원은 감소했다. 3040세대는 2021년 51.6%에서 2023년 50.8%로 소폭 하락했다. 50대 역시 2021년 29.6%에서 2023년 27.4%로 낮아졌다. 반면, 20대 직원은 2021년 19.3%에서 2023년 21.8%로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다.
현대차 이외에도 △기아 △포스코 △LG전자 △삼성SDS 역시 20대 인력 비중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현대차와 같은 그룹 계열사인 기아는 국내 인력 기준으로 최근 3년 새 20대 젊은층이 눈에 띄게 많아졌다. 2021년만 해도 20대 직원은 2.9%(1017명)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7.1%(2539명)까지 확대된 것이다. 50대 인력은 60.6%(2만1508명)에서 55.4%(1만9811명)로 하향 곡선을 그렸다.
국내 고용 기준 포스코의 20대 직원도 2021년 16%(2921명)에서 2023년 18%(3241명)로 높아졌다. 반대로 50대는 2021년 43.7%에서 2023년 40.4%로 감소세를 보였다. 전체 직원 중 50대 직원의 비중이 가장 컸으나, 지난해 3040세대(41.5%)가 50대 직원을 처음으로 앞질렀다.
LG전자와 삼성SDS는 20대와 50대 인력이 모두 상승했다. LG전자는 지난 2021년 17.3%였던 20대 인력이 2023년 18.4%로 많아졌다. 50대도 13.1%에서 14.5%로 증가했다. 삼성SDS의 20대 직원 비중도 9.7%에서 14.4%로, 50대는 11.3%에서 15.4%로 늘었다. LG전자와 삼성SDS는 허리층인 3040세대를 최근 다소 줄여나간 셈이다.
경험이 풍부한 50대 베테랑 직원들을 더 늘린 곳도 있다. △SK하이닉스 △HD현대중공업 △대한항공 △삼성디스플레이 △LG유플러스 등이다. SK하이닉스의 50대 인력 비중은 2021년 4.7%(1815명)에서 7.3%(2921명)로 늘었다. 반면 20대는 31.1%(1만1934명)로 높은 수준이었으나 지난해 24.7%(9833명)로 뚜렷한 감소세를 보였다. 2500~3000명 사이로 20대 인력을 신규 채용해오던 SK하이닉스가 지난해에는 200명대로 확 줄였던 것이다.
HD현대중공업의 50대 장년층 인력 비중은 2021년 26.9%(3447명)에서 2023년 28.9%(3828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한항공은 25.7%(4993명)에서 28.5%(5541명)로 50대 인력이 30%에 근접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13.4%(8838명)에서 18.7%(1만989명)으로, LG유플러스는 15.6%(1594명)에서 18%(1955명), 삼성전기는 2.7%(989명)에서 3.8%(1326명)으로 50대 직원 비중이 점점 올라갔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지난해 글로벌 고용 인력이 3만명 이상인 기업은 7개다. 이중 20대 인력 비중이 가장 큰 곳은 삼성전기다. 지난해 삼성전기의 20대 고용 비중은 40.1%에 달한다. 삼성디스플레이도 34%로 높은 편에 속했다.
3만명 이상 고용 대기업 중 3040세대 허리층이 가장 두텁게 형성된 곳은 68% 규모의 SK하이닉스다. LG전자도 67.2%로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하지만 두 기업의 20대와 50대 직원 비중은 큰 차이를 보인다. LG전자는 20대 18.4%, 50대 14.5%로 두 그룹간 차이가 5% 이내지만, SK하이닉스는 20대 24.7%와 50대 7.3%로 15% 넘게 차이났다.
7개 기업 중 50대 인력 비중이 가장 큰 곳은 기아인 것으로 확인됐다. 50대 이상 인력은 55.4%로 절반을 넘어섰다. 그나마 2021년 당시 60%대였던 것을 감안하면 다소 낮아진 수치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과거에 많은 기업들은 젊은 인력이 많고 간부급 등 중장년층 비중이 적은 피라미형 조직이 다수를 보였지만, 최근에는 3040세대 허리층이 두터운 항아리형으로 변화한 경우가 많다”며 “특히 50대 직원 비중이 높은 곳은 향후 5~6년 사이 정년퇴직 등으로 인한 자연 감소로 이 자리를 20대 인력 등으로 채워짐에 따라 이에 따른 새로운 조직 관리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사이드뉴스] 주식종목 10곳 중 7곳 시총↓…3분기 시총 189조원 감소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총수 주식재산 2조3000억원↓…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1조원↑
- [인사이드뉴스] 삼성전자, 20대 이하 직원 27%로 가장 적어…40대 이상은 30%↑
- [인사이드뉴스] 100억원 이상 '비오너 주식부자' 27명…크래프톤 1~2위 차지
- [인사이드뉴스] 1970년대생 '젊은 오너' 회장 30명 이상…부회장도 50명↑
- [인사이드뉴스] 주식종목 10개 중 6개, 시가총액 하락…1조클럽은 270곳↑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총수 주식재산 2조6000억원↓…정의선 현대차 회장 톱3 진입
- [인사이드뉴스] 국내 대기업 해외법인 6100곳↑…美 비중 25% 차지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88곳 고용 인원, 쿠팡 3만2000명 늘어…SK는 9500명↓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사내이사 1100명, 내년 상반기 임기만료…CEO는 500명
- [인사이드뉴스] 올해 100대 기업 임원 수 7400명↑…2010년 이후 최다
- [인사이드뉴스] 100대 기업 임원 승진 확률 0.84%…직원 119명당 1명꼴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여성 임원 5.5% 늘어…삼성전자 81명으로 최다
- CEO 10명 중 3명은 SKY 출신…서울대 188명 최다 배출
- 2025년 대기업 임원 인사 키워드는 '시프트 키(Shift Key)'
- [인사이드뉴스] 내년 CEO 110명 뱀의 해 맞아…100억원 이상 주주는 86명
- [인사이드뉴스] 그룹 총수 44명 주식가치 60% 하락…1년 새 6조6000억원↓
- [인사이드뉴스] 시가총액 1조 클럽 19곳 감소한 240개…SK하이닉스 20조 이상↑
- [인사이드뉴스] 100대 기업 여성 사외이사 증가세 꺾여…1년 새 3명↑
- [인사이드뉴스] 국내 대기업 캐나다·멕시코 법인 201곳에 달해…관세폭탄 영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