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인베스트=조호진 타키온뉴스 대표] 한국항공우주의 최대 온실가스 배출원은 항공유가 아닌 전기로 확인됐다. 한국항공우주는 지난달 30일 발간한 지속가능보고서에서 온실가스 배출원별 비율은 전기 75%, 가스 16%, 항공유가 7%라고 밝혔다.
한국항공우주는 2030년까지는 탄소 배출량의 40%를 줄이고, 2050년에는 탄소 배출을 없앤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한국항공우주는 태양광 사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고효율 LED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탄소 저감은 세계적 흐름이다. 대응이 늦으면 수주와 재정 조달에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 심지어 탄소배출권을 구매해야 하는 상황이 닥치면 흑자가 적자로 반전될 수도 있다.
탄소 중립(제로)만큼 한국항공우주가 풀어야 할 중차대한 과제는 지배구조 개편이다. 한국항공우주는 지난 10년간 정권이 바뀔 때마다 대표이사가 교체됐다. 심지어 지난 문재인 정부 시절에는 정권이 임명한 김조원 대표(66)가 돌연 민정 수석으로 차출되는 바람에 부랴부랴 새로운 최고경영자(CEO)를 찾아야 하는 촌극이 펼쳐졌다.
대표이사 공백은 한 달 반이나 이어졌다. 김 대표는 참여 정부 시절 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 민정 수석실에 근무했다. 이런 이력은 김 대표가 한국항공우주 대표이사가 되는 데 도움이 됐다는 평가이다. 하지만, 전임 조국 수석이 법무부장관 후보자가 되자, 김 대표는 청와대로 차출됐다.
심지어 정권이 임명한 대표이사 교체와 임명은 한국항공우주의 경영에는 하자라는 지적이다. 근본적 해결책은 한국항공우주를 완전 민영화하는 것이다. 최근 국민연금의 지분 확대는 이런 맥락에서 주목된다. 국민연금은 국내 주식 비중을 지속적으로 줄이는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의 지분을 10.03%로 확대했다.
10% 이상 주주는 주요 주주로 분류되며, 공시 의무가 강화한다. 이런데도 국민연금은 한국항공우주의 지분율을 높였다. 30일 기준 한국항공우주의 주요 주주는 수출입은행(26.41%)과 피델리티(6.35%) 등이다. 만일 국민연금과 수출입은행이 지분을 민간 기업에 넘기면 민영화 작업은 끝난다.
인수의 유력 후보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다. 이미 한화그룹의 김동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40)와 윤석열 정부가 긴밀한 대화를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설령 민영화가 완료될지라도 정부 협력은 지속될 전망이다. 방산 분야의 특성상 국내 정부도 한국항공우주가 필요하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전쟁으로 세계가 방산 예산을 급격히 늘렸다는 점은 한국항공우주에게는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다.
지난달 23일 한국항공우주가 베트남에서 헬기 사업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현지 VTX와 맺었다. 1970년대 현재 베트남 정부를 상대로 전쟁을 치른 한국군의 무기를 베트남 정부가 민간 분야에서 선택한다는 점에서 격세지감을 불러왔다. 역설적으로 양국 정부가 찬성하지 않으면 불가능한 사업이라는 점에서 방산 분야와 정권의 유착 관계를 엿볼 수 있는 MOU였다.
관련기사
- [조호진의 PICK] SK바이오사이언스 – CDMO 본격화로 '바이오 TSMC' 될까
- [조호진의 PICK] 프로텍 – 엘파텍이 지분을 매각한 이유는?
- [조호진의 PICK] 큐브엔터 - 여자아이들 블랙핑크 되나
- [조호진의 PICK] HD현대에너지솔루션 – UFLPA로 콧노래 부르는 까닭
- [조호진의 PICK] LG에너지솔루션 – PER이 급격히 낮아지는 이유는?
- [조호진의 PICK] SGC에너지 – 하반기 줄줄이 대기하고 있는 호재는?
- [조호진의 PICK] 씨에스윈드 – EU·美 풍력발전 시장 팽창으로 주가 고공행진?
- [조호진의 PICK] 서남·신성텔타테크 – 초전도체 테마, 네이처 발표로 소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