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에너지솔루션이 1분기 연결 실적(잠정)을 26일 공시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잠정실적으로 매출은 141억원, 영업이익은 80억원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YoY)로는 각각 -20.0%, 4.0% 성장했다. [자료제공=타키온뉴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이 1분기 연결 실적(잠정)을 26일 공시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잠정실적으로 매출은 141억원, 영업이익은 80억원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YoY)로는 각각 -20.0%, 4.0% 성장했다. [자료제공=타키온뉴스]

[데일리인베스트=조호진 타키온뉴스 대표] HD현대에너지솔루션이 1분기 연결 실적(잠정)을 26일 공시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잠정실적으로 매출은 141억원, 영업이익은 80억원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YoY)로는 각각 -20.0%, 4.0% 성장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HD현대(현대중공업) 그룹의 태양광 기업이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의 지배 구조는 HD현대→한국조선해양(36.65%)→HD현대에너지솔루션(53.57%)로 이뤄졌다. 

태양광 발전은 크게 웨이퍼→실리콘→모듈→발전로 구분된다. 여기서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모듈을 주로 생산한다. 전체 매출의 95%가 모듈이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대외적으로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다.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로 전기차·태양광 기업에 재정을 지원한다. 

또한 EU 역시 뒤질세라 리파워EU(RePowerEU) 전략을 만들어 태양광 기업을 지원한다. 양측 모두 태양광을 비롯한 신재생 에너지를 확산하면서 자국에 일자리를 생산하겠다는 목표가 있다. 이런 기조에 HD현대에너지솔루션이 혜택을 입게 됐다. 

미국은 또 다른 우호적인 정책을 폈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의 주력 제품인 모듈의 경쟁 제품은 중국산이다. 미국은 위그루강제노동방지법(UFLPA)을 제정했다. 취지는 중국 당국이 위구르 주민의 인권을 유린하는 데 이를 막겠다는 것이다. 그래서 위구르 지역에서 생산된 완제품은 물론 부품까지 들어간 제품의 미국 판매를 금지했다. 덕분에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콧노래를 부르게 됐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은 작년 1분기에만 해도 미국 매출 비중이 2% 미만이었다. 작년 4분기에는 35%까지 치솟았다. 이는 상기한 두 정책도 일조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HD현대에너지솔루션의 목표주가로 다올투자증권은 7만4000원을, 현대차증권은 8만원을 각각 제시했다. 

27일 종가 기준 올해 수익률(YTD)은 HD현대에너지솔루션이 -4.18%, 동종 기업인 한화솔루션이 19.49%, 코스피가 12.14%를 각각 기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데일리인베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