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CXO연구소 'SK와 LG 그룹 간 시총 2~3위 순위 변동' 발표
[데일리인베스트=조수빈 인턴기자] SK가 2년여 만에 LG를 제치고 그룹 시가총액 2위 자리를 탈환했다. SK그룹 시총은 지난 2022년 1월27일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상장되면서 그룹 시총 3위로 밀려났었다. 그러다 지난 19일 LG그룹 시총보다 높아지며 역전됐다. SK그룹이 시총 2위에 복귀하는 데는 SK하이닉스의 시총 증가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SK와 LG그룹 간 시총 2~3위 순위 변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LG와 SK그룹 전체 상장사의 보통주와 우선주 주식종목이 모두 포함됐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삼성에 이어 그룹별 시총 2위의 위상을 지켜오던 SK가 3위로 물러서기 시작한 시점은 LG엔솔이 상장된 2022년 1월27일부터다. 상장 첫날 LG엔솔의 시총 외형은 118조원 이상으로 평가됐다. 단일 종목으로 보면 LG엔솔은 삼성전자 다음으로 2위 자리를 꿰찼다.
지난해 1월초에는 LG와 SK그룹 간 시총 격차가 더 벌어졌다. 2023년 연초(1월2일) 기준 LG그룹의 시총은 203조원 수준인데 반해, SK그룹은 124조원 규모에 그쳤다. LG와 SK그룹 간 시총 격차가 80조 원 가까이 벌어진 것이다.
LG그룹의 시총 위상은 지난해 9월말까지도 이어졌다. 2023년 9월 말 기준 LG그룹의 시총 외형은 202조원 이상으로 200조원대를 여전히 유지했다. 같은 시점에 SK그룹 시총은 LG그룹 시총보다 50조원 가량 적은 152조원 수준이었다.
LG와 SK 그룹 간 시총은 올해 연초에 급속하게 좁혀졌다. 올해 1월2일 기준 LG그룹의 시총은 190조원을, SK그룹 시총은 179조원을 기록했다. SK그룹 시총은 늘고 LG그룹은 크게 줄면서 두 그룹 간 시총은 올해 연초에 10조원대로 격차가 줄었다. LG그룹이 여전히 시총 2위를 차지했으나, LG그룹의 시총을 100이라고 봤을 때, SK는 94.6 수준으로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9일에 역전극이 벌어졌다. LG그룹 시총은 167조원대 수준을 보인 반면 SK는 171조원 이상으로 평가됐다. SK가 LG보다 그룹 시총이 4조원 이상 높아지며 2년여 만에 시총 2위 자리를 탈환하는데 성공했다. 이날 두 그룹 간 시총은 100대 102.4 정도로 SK그룹이 더 커졌다.
이후 거래가 다시 시작된 지난 22일에는 LG와 SK 그룹 시총이 각각 163조원, 172조원으로 9조원 이상 벌어졌다. 100대 105.6 비율을 보이며 당분간 SK그룹이 시총 2위 자리를 이어갈 공산이 커졌다.
이처럼 LG가 그룹 시총 2위 자리를 내 준 배경에는 그룹 내 주요 상장사인 LG엔솔을 비롯해 LG화학, LG생활건강, LG전자 등의 시총 외형이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이 영향을 줬다.
2년여 동안 LG엔솔의 시총은 118조원대에서 89조원대로 28조원 넘게 감소했다. LG화학도 43조원대에서 28조원대로 14조원 이상 시총 외형이 작아졌다. LG생활건강은 9조원대, LG전자는 5조원대로 시총 규모가 축소됐다. 반면 SK그룹의 SK하이닉스는 2022년 1월27일 82조원대에서 2024년 1월19일 102조원대로 20조원 이상 증가했다.
한편 이번 조사와 관련해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LG엔솔이 주식시장에 등장할 때만 해도 LG그룹은 시총 외형이 단숨에 2위 자리로 올라서며 돌풍을 일으켰다”며 “2년여가 흐른 지금은 LG엔솔의 시총은 상장 초기때보다 떨어지고 있는 반면 같은 기간 SK하이닉스는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최근 국내 주식시장에서 업종 간 온도 차이를 보여주는 단면으로 풀인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인사이드뉴스] 1년 새 국내 증시 시총 480조원 넘게 증가
- [인사이드뉴스] 그룹 총수 40명 주식재산 1년새 약 10조원 증가
- [인사이드뉴스] 100억원 이상 용띠 주식부자 88명…1964년생은 35명
- [인사이드뉴스] 1000대 기업 여성 CEO는 40명…1조 클럽에 6명
- [인사이드뉴스] 1분기 국내 주식 시가총액 100조원 증가…SK하이닉스 30조원↑
- [인사이드뉴스] 지난해 4대 그룹 영업이익 66%↓…삼성 93% 감소
- [인사이드뉴스] 대기업 1분기 고용증가율 0.2%에 그쳐…삼성전자 채용 3000명↑
- [인사이드뉴스] 정의선 현대차 회장, 대기업 총수 영업이익 1위 달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