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 "내년~내후년 비용 절감 노력 등으로 실적 개선"
[데일리인베스트=조수빈 인턴기자] 전자상거래 플랫폼 기업 카페24는 지난 3분기에 매출액은 3% 줄고 영업손실은 19% 느는 등 실적이 악화됐다. 이런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카페24가 유튜브 쇼핑으로 인한 매출액 증가, 사업 효율화를 통한 고정비 부담 감소로 내년에 영업이익이 흑자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편 카페24는 최근 구글로부터 259억원을 투자 받아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11월 중순부터 가파른 상향각을 그리고 있는 주가가 추세를 이어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999년 5월 설립된 카페24는 인터넷 쇼핑몰 구축 및 운영을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코스닥시장에는 2018년 2월 상장됐다. 자체 홈페이지를 가진 ‘전문몰’에 특화되어 있으며 국내 전문몰 거래액의 약 19%(전체 인터넷 쇼핑몰 거래액의 7%)가 카페24 플랫폼을 통해 거래된다. 전문몰은 홈페이지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고 고객 데이터를 직접 관리할 수 있지만 스마트스토어 대비 품이 많이 들어간다. 카페24를 이용하면 도메인 설정에서부터 디자인, 결제, 스토어연동 등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카페24의 사업부문은 이커머스(EC)플랫폼, 인프라 등으로 구분된다. EC플랫폼은 쇼핑몰의 구축부터 운영을 돕는 솔루션에서 발생하는 매출로, 결제 솔루션, EC솔루션, 비즈니스솔루션, 공급망서비스, 마케팅솔루션으로 구성된다. 결제솔루션은 거래액(GMV)의 약 0.7~1%를 수취하며, 4분기 > 2분기 > 1·3분기 계절성을 가진다. GMV가 클수록 다양한 솔루션을 이용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기타 솔루션들은 GMV와 약한 비례 관계를 가지며, 2022년 기준 매출비중은 85%다.
또한 쇼핑몰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품·판매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서버가 필요하다. 서버를 빌려주는 서비스를 호스팅서비스라고 하는데, 이 매출이 인프라 매출이다. 이용량에 따라 5500원/월 등의 계약 형식을 띄며 매출에 큰 변동이 없는 안정적인 캐시카우다. 2022년 기준 매출 비중은 12%다.
지난 6월 중순 8400원 안팎에서 횡보하던 카페24는 6월 하순 급등세를 보이며 6월28일 장중 1만8460원까지 치솟았다. 이후 횡보하다가 7월 중순부터 하향각을 그리며 7월말 1만2000원대로 내려왔다. 8월초부터 소폭 반등하며 8월말 1만4000원대로 올라섰다가 9월초부터는 하향각을 그리며 10월초 1만1000원대로 주저앉았다. 이후 1만2000원 안팎을 오르내리다가 11월 중순부터 가파르게 상승하며 이달 중순에는 2만9000원대로 치솟았다. 지난 18일에는 전날보다 16.37%(4600원) 오른 3만270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 6일 카페24는 구글로부터 259억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투자는 유상증자(제3자 배정증자)로 진행됐다. 주식수는 175만5856주, 발행가액은 산정기준에 따라 주당 1만4770원이다. 카페24는 이번 투자가 지난 1년간 양사가 구축해 온 유튜브 쇼핑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확장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지난 11월23일에는 충주시와 다중채널네트워크(MCN) ‘굿워크랩’이 진행하는 라이브 스트리밍 판매 행사 ‘충주씨샵 사장님이 미쳤어요!’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카페24는 충주시 특산물을 판매하는 소비자 대상 직접 판매(D2C) 쇼핑몰 충주씨샵 구축을 지원했다. 또한 카페24 유튜브 쇼핑 연동 서비스로 유튜브 채널 충주씨와 충주씨샵을 연결했다. 영상 시청 중인 고객은 몇 번의 클릭이나 터치만으로 손쉽게 충주씨샵에서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앞선 11월21일에는 수원 장안구 송죽동에 ‘카페24 창업센터 수원장안구청점’을 열었다고 밝혔다. 카페24 창업센터는 전자상거래 분야에 특화된 육성(인큐베이팅) 공간이다. 사업 규모별로 설계된 사무 공간과 온·오프라인 교육, 1:1 컨설팅, 스튜디오 대관, 저렴한 택배 서비스 등 온라인 쇼핑몰 창업·운영에 필요한 전문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한다. 누적 입주 창업자는 2만5000명이 넘는다.
카페24는 지난 3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매출액은 647억6064만원으로 전년 동기 664억3593만원 대비 2.52%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35억9688만원으로 전년 동기 30억3532만원 대비 18.50%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234억4967만원으로 전년 동기 48억9604만원 손실에서 흑자 전환했다.
3분기까지 누적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2036억495만원으로 전년 동기 1937억7648만원 대비 5.07% 증가했다. 영업손실은 70억6206만원으로 전년 동기 171억1632만원 대비 58.74%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48억3716만원으로 전년 동기 247억1912만원 손실에서 흑자 전환했다.
그럼에도 증권가는 카페24에 대해 긍정적인 리포트를 내놓고 있다. 지난 18일 신한투자증권은 2024~2025년에는 유튜브 쇼핑 수혜, 비용 절감 노력으로 실적 개선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김아람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카페24는 상장 이후 수익성 악화가 지속됐다. 특히 지난 3년간은 해외 진출, 풀필먼트 등 사업 확장으로 실적이 더욱 부진했다”며 “인건비와 감가비 등 고정비 부담이 커지며 연간 영업이익은 2018년 156억원(영업이익률 9.4%)에서 2021년 –199억원(적자 전환), 2022년 –297억원(적자 확대)까지 감소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연구원은 카페24가 기나긴 터널 끝에 도달했다고 짚었다.
그는 “유튜브 쇼핑으로 인한 매출액 증가, 사업 효율화를 통한 고정비 부담 감소로 2024년 영업이익 64억원(흑자 전환)을 달성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유튜브 쇼핑과 관련, “카페24는 국내 유튜버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유튜브 쇼핑 파트너사”라며 “유튜브 쇼핑은 향후 성장성이 크다고 판단되는데, 온라인 쇼핑 시장 성장이 둔화될수록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 전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크리에이터 팬들은 최저가보다는 크리에이터에 대한 애정, 신뢰도를 바탕으로 제품을 소비한다”며 “카페24는 구글로부터 투자를 유치할 만큼 유튜브 쇼핑에 적극적이다(260억원, 지분율7.2%). 가장 큰 수혜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그는 “유튜브는 연동 가능한 쇼핑 플랫폼으로 카페24(한국만), 쇼피파이(Shopify), ㅣ스프레드숍(SpreadShop), 스프링(Spring), 스즈리(Suzuri, 일본만)를 지원한다”며 “카페24는 국내 판매자들이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하는 플랫폼인 만큼 유튜브 쇼핑으로 인한 간접적인 수혜가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어 “다만 유튜브 쇼핑 활성화 정도는 아직 낮은 편인데, 인지도가 낮은 영향이 크다고 판단된다”며 “그러나 추가 수익을 원하는 크리에이터 입장에서는 채택하지 않을 이유가 없으므로 시간을 두고 점차 활성화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김 연구원은 사업효율화와 관련, “고정비 절감 노력에 따라 이르면 2023년 4분기 흑자전환이 기대된다”며 “5개 해외 법인을 정리 중이며, 보수적 채용으로 2022년 대비 2023년 인건비 약 70억원 감소가 전망된다. 풀필먼트는 직접 투자로 비용 부담을 지기보다는 외부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강화한다”고 전했다.
그는 밸류에이션과 관련, “카페24 주가는 구글의 투자 이후 65% 상승했다. 이에 멀티플이 충분히 높아졌지만 향후 유튜브 쇼핑으로 인한 GMV 성장 규모, 성장 속도 추정에는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라며 “유튜브 쇼핑의 잠재력을 기대하지만 지금부터 추가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실제 GMV 성장 속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 생성형AI, 디지털 광고 시장에 지각변동…유망주 3선은?
- 카페24, 매출 690억원, 영업이익 -71억원
- [연결실적] 카페24, 매출 710억원, 영업이익 -62억원
- [Hot 종목 분석] 카페24, 네이버와 지분교환 소식에 주가 '연중 최고가'
- [Hot 종목 체크] 카페24, 유튜브쇼핑 수혜로 수익성 개선 본격화…주가 반등?
- [서치 e종목] 카페24, AI 기술로 업무 생산성 높이며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할까
- [Hot 종목 체크] 카페24, 유튜브쇼핑으로 GMV 성장세 가속화 전망…주가 상승세?
- [서치 e종목] 카페24, 유튜브 인앱 결제로 GMV 본격 발생하며 성장세 가속화?
- [급등주 핵심체크] 카페24, 유튜브쇼핑 고성장 수혜로 주가 상향각 이어갈까
- [Hot 종목 체크] 카페24, 유튜브쇼핑 참여 셀러·제품 수 확대로 주가 반등할까
- [서치 e종목] 카페24, 독과점 지위로 유튜브쇼핑 성장 최고 수혜…주가 향방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