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투자증권 "극심한 저평가로 계약공시 따라 주가 대폭 상승 전망"
IBK투자증권 "일라이릴리와 계약규모 확대 가능성…신약가치 상승 기대"
상상인증권 "신약개발 연구 성과 대비 주가 저평가…마일스톤 유입 시 자금 여유"

2010년 2월16일 설립된 올릭스는 RNA간섭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치료제가 접근하기 어려운 질환에 대한 치료제의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사진출처=올릭스]
2010년 2월16일 설립된 올릭스는 RNA간섭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치료제가 접근하기 어려운 질환에 대한 치료제의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사진출처=올릭스]

[데일리인베스트=권민서 기자] 리보핵산(RNA) 간섭 플랫폼 기술 기반 신약개발 기업 올릭스는 지난 8월19일 1150억원 규모의 전환우선주(CPS)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증권가에서는 올릭스가 이번 CPS 발행을 통해 현금 이슈를 해소한 가운데 올해는 파트너사 일라이릴리와의 비만치료제 ‘OLX702A’ 개발 순항 및 계약 확장, 지방조직·근육조직·중추신경계 표적 등 차세대 성장 동력의 기반을 마련하는 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2010년 2월16일 설립된 올릭스는 RNA간섭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 치료제가 접근하기 어려운 질환에 대한 치료제의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는 2018년 7월18일 상장했다.

RNA간섭 기술은 올리고 핵산치료제 중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생성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다. 올릭스는 RNA간섭 기술 중 짧은간섭리보핵산(siRNA)에 대한 원천기술인 자가전달 비대칭 siRNA(cp-asiRNA) 기술을 확보해 이를 기반으로 난치성 질환에 대한 다양한 신약을 개발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사업 구조는 RNA간섭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신약후보물질을 개발하여 관련 기술을 국내외 제약사에 이전하는 방식이다. 특히 RNA간섭 기술은 작용기전이 타 신약개발 기술 대비 명확하다. 

올릭스는 동물에서 효력과 독성에 대한 연구(비 임상시험) 후 인체에 독성 관련 시험을 하는 제1상 임상시험까지 완료한 다음, 제2상 임상시험 초기에 조기 기술이전을 하고자 한다. 기술이전을 하게 되면 신약후보물질의 경우 대부분 수익은 계약금과 각 임상시험 단계별 마일스톤, 그리고 최종 제품의 매출액에 대한 일정 비율의 로열티로 구성된다.

올릭스의 파이프라인으로는 △비대흉터 치료제 ‘OLX101A’ △탈모 치료제 ‘OLX104C’ △건성 및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OLX301A’ △망막색소변성증 치료제 ‘OLX304C’ △대사이상지방간염(MASH)·비만 치료제 ‘OLX702A’ 등이 있다. 

특히 ‘OLX702A’는 지난 2월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릴리와 9117억원 규모의 라이선스계약(L/O; 기술이전)을 체결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이어 6월에는 로레알과 수백만유로 규모의 피부 및 모발 재생에 대한 공동연구 협력을 시작했다. 

지난해 10월 하순 2만9000원 안팎에서 거래되던 올릭스는 하향각을 그리며 올해 2월 하순 1만4000원대로 주저앉았다. 그러나 바로 가파른 상승세로 돌아서며 3월 초 5만7000원대까지 치솟았다. 이후 4만7000원 안팎에서 등락을 거듭하다가 6월초부터 하락세를 보이며 6월 하순에는 3만4000원대로 내려왔다. 그러나 다시 오름세로 전환하며 최근에는 6만1000원을 넘어섰다. 지난 2일에는 가격제한폭인 29.93%(1만7600원) 급등한 7만6400원에 장을 마쳤다. 

지난 8월19일 올릭스는 1150억204만원 규모의 CPS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고 공시했다. 주당 발행가액은 5만8101원이며 발행되는 신주는 전환우선주 197만9347주다. 신주는 발행일로부터 1년간 보호예수되며 증자대금 납입일은 지난 8월28일이었다.

올릭스는 이번 투자 유치로 확충된 자금을 신규 성장전략인 ‘올릭스 2.0 로드맵’에 맞춰 지방조직 및 뇌 신경(CNS) 조직을 타깃하는 새로운 플랫폼을 확립하기 위한 연구개발(R&D)에 집중 투입할 예정이다. 신규 성장동력을 창출해 다음 기술이전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또한 이번 자금 조달을 계기로 국내 바이오기업들의 주요 관리종목 지정 요인으로 꼽히는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 문제도 완전히 해소돼 재무 안정성을 크게 강화하고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난 7월30일에는 탈모치료제 ‘OLX104C’ 유럽 물질 특허 등록 결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로써 올릭스는 한국, 미국, 일본, 중국, 캐나다에 이어 유럽에서도 해당 기술과 관련 특허 등록을 완료하며 글로벌 지식재산권(IP) 보호 기반을 한층 강화하게 됐다.

OLX104C는 올릭스의 독자적인 cp-asiRNA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안드로겐성 탈모(남성형 탈모) 치료제다. 기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억제제와는 차별화된 기전으로 성기능 저하나 우울감 유발 등 기존 탈모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물의 장기 효력 유지로 매일 복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점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췄다. 지난 1월 OLX104C의 호주 1a상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한 바 있다. 

지난 6월23일에는 올릭스가 매도청구권(콜옵션)을 행사하여 취득한 만기전 사채 물량을 미국 소재 글로벌 헤지펀드 운용기관이 약 101억원 규모로 인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릭스는 2배 이상 수준의 유의미한 재매각 수익을 확보하게 됐다.

이는 2024년 3월21일 올릭스가 발행한 147억원 규모의 전환사채와 관련한 건이다. 당시 전환가액은 주당 1만6283원 수준으로, 전환사채의 최대 30%에 대해 발행사(올릭스)의 콜옵션 권리가 포함되어 있었다. 올릭스는 약 1년 만에 4만원대로 상승한 주가 흐름에 따라 전환사채 재매각에 따른 차익 확보를 결정하고 콜옵션을 전량 행사해 약 46억원에 전환사채를 매입했다. 이를 미국 소재 헤지펀드 운용기관이 인수한 것이다.

해당 재매수 기관이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할 시 올릭스가 상장 이후 발행한 누적 메자닌(주식연계채권)을 전량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재매각을 통해 확보한 자금은 연구개발 및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 등 전략적 사업 확대에 활용할 예정이다.

지난 6월9일에는 글로벌 뷰티 기업 로레알과 뷰티 분야에서의 신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는 혁신적인 솔루션 연구개발을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독점적 과학 협력 계약(Exclusive Scientific Collaboration)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피부 및 모발 건강, 특히 재생과 수명연장에 중점을 두고 새로운 혁신적 돌파구를 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협력 계약은 다년간에 걸친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화장품 솔루션 개발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형태로 진행된다. 본 파트너십을 통해 성공적인 초기 결과가 도출될 경우, 양사는 이를 바탕으로 대폭 확대된 규모의 협력 단계로 나아가기로 합의했다. 계약 총액 및 구체적인 연구개발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지난 4월30일에는 중국 한소제약에 기술이전한 갈낙(GalNAc)-asiRNA 기술 기반 치료제 후보물질 옵션 1종이 단계별 마일스톤을 달성함에 따라 마일스톤 기술료 300만달러(약 43억1550만원)을 수령한다고 공시했다.

올릭스와 한소제약은 2021년 10월 올릭스가 보유한 GalNAc-asiRNA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심혈관 및 대사성 질환에 대한 치료제 연구개발을 목표로 하는 라이선스 및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계약으로 올릭스는 치료제 후보물질의 중화권 내에서의 개발 및 상업화 권한을 한소에 부여했다. 

지난 3월12일에는 탈모치료제 후보물질 ‘OLX104C’의 1b, 2a상 임상시험계획을 호주 벨버리 인체연구 윤리위원회(Bellberry HREC)에 제출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1b, 2a상 임상시험은 안드로겐성 탈모(남성형 탈모)가 있는 건강한 남성을 대상으로 OLX104C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다. 

호주 내 약 10개 임상시험 기관에서 시행될 예정이며, 목표 등록 대상자는 120명이다. 임상시험은 승인일로부터 약 30개월간 진행될 계획이다. 올릭스는 1b상 시험을 통해 OLX104C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고 치료가 성기능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이 없는지 분석할 예정이다. 2a상 시험에서는 다회 피내주사 치료의 인체 내 유효성(Human PoC)을 평가할 계획이다.

올릭스는 지난 2분기에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62억5108만원으로 전년 동기 45억9974만원 대비 35.90% 증가했다. 반면 영업손실은 49억6160만원으로 전년 동기 37억7319만원 대비 31.50% 늘었다. 당기순손실은 92억479만원으로 전년 동기 95억8485만원 대비 3.97% 감소했다. 

지난 2분기까지 누적 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액은 72억2763만원으로 전년 동기 53억6812만원 대비 34.64% 증가했다. 다만 영업손실은 132억419만원으로 전년 동기 138억6615만원 대비 4.77%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224억6991만원으로 전년 동기 179억8988만원 대비 24.90% 증가했다. 

지난해에도 부진한 실적을 보였다. 매출액은 56억7715만원으로 전년 170억6427만원 대비 66.73% 감소했다. 영업손실은 309억1859만원으로 전년 181억8534만원 대비 70.02%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406억5869만원으로 전년 191억169만원 대비 112.85% 늘었다. 

그럼에도 증권가는 올릭스에 대해 긍정적인 리포트를 내놓고 있다. 지난 2일 신한투자증권은 올릭스가 극심한 저평가 상태로 기회 구간이라며 CPS 발행으로 현금 이슈도 해소돼 타 바이오텍 대비 할인요인이 없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엄민용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는 일라이릴리와의 OLX702A 개발 순항과 계약 확장, 차세대 성장 동력(지방조직 표적, 근육조직 표적, 중추신경계 표적)의 기반을 마련하는 해가 될 것”이라며 “국내 RNAi·올리고핵산 분야 독보적 입지를 넘어 지방, 근육조직 및 CNS 등 간외 적응증 파이프라인 확장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2월 일라이릴리에 6억3000만달러 규모로 L/O한 미토콘드리아 아미독심 환원성분1(MARC1) 타깃 OLX702A(MASH 및 기타 심혈관 대사질환)의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AFLD) 대상 1상 중간 검토 결과, 단회 투여만으로 약 60~70%(고용량에서 최대 90%)의 지방간 감소를 확인했다”며 “이는 지방간 감소 부분에서 경쟁약물 대비 압도적인 결과”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일라이릴리 계약에서 추가로 주목해야할 점은 듀얼 siRNA를 통한 확장 가능성”이라며 “타깃 유전자인 ‘MARC1’과 하나 이상의 다른 타깃 유전자를 동시에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를 개발할 경우 일라이릴리는 치료제에 대한 우선적인 권리를 가지며, 이로 인해 총 계약 금액이 추가되거나 독점적 협상이 진행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6월 로레알과 수백만 유로 플러스 알파 계약 규모로 체결한 피부 및 모발 재생과 수명 연장 목표의 공동 연구 협력은 연내 선급금 수취에 이어 추가 마일스톤 유입이 기대된다”며 “선급금은 반기 보고서상으로 확인됐던 126억원으로 추정되며 추가 마일스톤 규모 확인되면 향후 유입 현금흐름 기대감도 보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OLX301A는 건성 황반변성(GA)의 미충족 수요를 타깃하여 개발 중”이라며 “건성과 습성 모두 효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해 기존 약물의 미충족 수요 개선이 기대되어 베스트인클래스(Best in class; 계열내최고신약)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1상 데이터는 4분기 중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 수령 예상되며 CSR 수령 이후 짧은 2a상으로 PoC 입증하여 자산 가치 및 계약 협상력을 증대시킬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엄 연구원은 “올릭스 2.0의 핵심 주제는 간과 국소 부위 투약의 한계를 뛰어넘는 것”이라며 “올릭스는 해당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siRNA에 적용할 뇌혈관장벽(BBB) 셔틀 플랫폼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지방조직 타깃은 내년 하반기 임상시험계획 승인신청(IND) 제출을 목표로 개발 중이며, 근육조직 및 CNS는 2027년 중 IND 제출을 목표로 앞으로도 임상 및 L/O 모멘텀이 다수 대기 중”이라고 전했다. 

이어 “국내 바이오텍 중 빅파마와 본계약을 체결한 기업은 국내 4개뿐이다. 알테오젠, 리가켐바이오, 에이비엘바이오, 올릭스”라며 “올릭스는 글로벌 시가총액 1위 빅파마 일라이릴리와 임상 1상에서 효력을 양사가 확인했고 이제 추가 계약만 체결된다면 에이비엘바이오, 리가켐바이오의 반열에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노보노디스크가 다이서나(Dicerna)를 4조3000억원 규모 인수되기 전 다이서나는 일라이릴리와 계약 상태에 있었다”며 “그런 일라이릴리가 다이서나와 노보노디스크의 경쟁약물 NN6581을 올릭스와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다이서나 만큼의 기술력을 올릭스가 확보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가장 저평가된 기업으로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같은 날 IBK투자증권은 올릭스가 일라이릴리와 계약 규모 확대 가능성이 열려 있다며 향후 듀얼 타깃팅을 통해 비만·심혈관 질환으로 확장할 경우 차별화된 포지셔닝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정이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2월7일 일라이릴리와 총 9117억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며 “MASH 치료제 후보물질이 대체로 주 1회 투여 간격으로 개발되는 상황에서 투약 간격을 더 연장할 수 있는 제형은 환자 편의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올릭스의 임상 1상 종료 후 후속 임상과 상업화는 일라이릴리가 담당하며, 내년 신규 임상 진전과 마일스톤 유입 모멘텀을 기대한다”며 “이번 반기 보고서상 계약금 규모는 약 72억원으로 추정되며, 단기 마일스톤은 의미 있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올릭스는 듀얼 타깃팅 갈낙 플랫폼을 기반으로 두 개의 표적 유전자를 동시에 억제하는 bi-asiRNA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며 “MACR1 외 추가 표적을 결합하는 치료제 개발 시 일라이릴리가 우선적 권리를 보유하고 있어 계약금 증액이나 별도 계약 체결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짚었다. 

정 연구원은 “자가전달 asiRNA(cp-asiRNA) 플랫폼 기반으로 지방조직과 CNS 질환으로 적응증을 확장하고 있다”며 “현재 올릭스는 siRNA의 뇌 전달을 위해 BBB 투과 기술 기업들과 공동 연구를 검토 중이며, 신규 적응증 후보물질의 임상 진입은 2026~2027년에 가시화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자가전달 asiRNA 플랫폼의 기술 경쟁력은 2025년 6월 로레알과 체결한 피부 및 모발 재생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통해 입증됐다”고 부연했다. 

지난 7월3일 상상인증권은 올릭스가 RNAi 부문에서 선도적인 위치이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이 진척될 것이라며 향후의 기업가치와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하태기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2025년 하반기 황반변성치료제 OLX301A의 임상 1상 결과 CSR을 수령할 예정이다. 향후 L/O을 검토하거나, 또는 자체 개발을 진행하게 될 것”이라며 “2025년 하반기에 OLX702A 임상 1a상 중간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OLX702A의 임상 1상은 올릭스 주도로 2026년 상반기에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임상 1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임상 2상부터는 일라이릴리가 진행할 예정”이라며 “임상 공표 시점, 또는 차기 임상 진입 시점에 릴리로부터 의미 있는 규모의 마일스톤을 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올릭스는 단기간 내에 로레알로부터 마일스톤 수령을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라며 “계약 서술에 근거해서 내용을 유추해 보면 1차로 남성형 탈모치료제(의약품)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2차로 관련된 화장품 개발도 가능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계약금은 2025년 3분기 전후로 수령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연말이나 2026년 초에는 일정 금액의 마일스톤 수령 가능성도 기대해 볼 수 있다”며 “향후 2~3년간 공동 개발 기간을 거치면 공동연구 결과물의 윤곽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아울러 “중국 한소제약에 기술이전된 다양한 간질환 치료제 개발이 활발하다”며 “한소제약은 2024년 12월에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GLP)-1 계열 치료제를 머크에 최대 20억달러, 2025년 6월에 레제네론에 GLP-1·위 억제 폴리펩티드(GIP) 수용체 이중 작용제를 약 20억달러 규모로 기술 이전한 바 있다. 따라서 올릭스도 불확실하지만 이렇게 신약 개발에 활발한 한소제약과 향후 플랫폼 딜이 추진될 가능성도 열려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하 연구원은 “올릭스의 영업실적은 전형적인 신약개발 기업의 실적과 유사하다”며 “연간 소요자금(비용)이 300억원 내외로 적지 않는 규모이기 때문에 자금수지 분석은 항상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어 “현금성 자산을 보면 3분기 말 121억원에다 2025년 2분기 중에 한소제약으로부터 마일스톤 40억원대 수령, 그리고 로레알로부터 계약금 수령 등을 추가할 수 있다”며 “따라서 3분기 중에 전체 현금성 자산 300억원 수준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여기에다 연말이나 내년 상반기 수령 예상되는 마일스톤 등을 감안하면 단기적인 자금 여유는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밸류에이션과 관련, 그는 “신약개발 연구 성과 대비 주가는 저평가 상태”라며 “RNAi 부문에서 선도적인 위치이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신약 파이프라인 임상이 진척될 것이다. 주가가 크게 하락한 만큼 장기적으로는 회복될 수도 있어 보이고, 향후의 기업가치와 주가 전망을 긍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 본 기사는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을 매수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하는 것이며 데일리인베스트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저작권자 © 데일리인베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