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투자증권 "수요 불확실성 지속, 설비투자 축소…목표가 3만8000원"
[데일리인베스트=황민주 기자] 반도체 테스트 서비스 제공업체 네패스아크는 지난 3분기에 실적이 시장기대치에 미치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사업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 계획을 고려해 장기 성장성은 여전히 기대할만하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반등한 주가가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네패스아크는 반도체 제조관련 테스트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반도체 시험 생산업, 반도체 제품 도소매업 등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네패스아크는 2019년 4월 설립했고 2020년 11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주요 제품군으로 전력반도체(PMIC),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SoC(시스템온칩) 등이 있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팬아웃-패널레벨패키징(FO-PLP) 공정으로 패키지된 제품의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FO-PLP는 전기신호가 들어가고 나가는 입출력 단자를 칩 바깥으로 빼내 고성능을 구현하는 패키징 기술이다. 반도체와 메인보드 사이 기판을 없애 생산원가를 낮춘다.
네패스아크는 시스템 반도체의 테스트를 주력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반도체 제조 공정상 테스트는 반도체의 기능이 설계된 대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테스트 장비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기능을 검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테스트는 공정에 따라 웨이퍼 테스트(Wafer Test) 와 패키지 테스트(PKG Test)로 구분된다. 웨이퍼 테스트는 웨이퍼 제조 마지막 단계에서 웨이퍼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형태이며, 패키지 테스트는 개별 칩으로 패키징을 완료한 이후 출하 직전에 칩 상태에서 진행하는 테스트다. 네패스아크는 웨이퍼 테스트를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시스템 반도체 종류별로는 PMIC 제품의 테스트 비중이 높은 편이다.
지난 8월 2만9000원대에서 횡보하던 네패스아크는 9월 하락세를 보이더니 9월30일 2만500원까지 떨어졌다. 10월부터는 반등해 2만2000원대까지 올라섰으나 바로 내림세로 돌아서며 지난 10월13일에는 2만400원으로 떨어졌다. 그러나 11월부터 다시 반등하며 2만4000원대로 올라섰다. 지난 18일에는 3.02%(750원) 떨어진 2만4050원으로 장을 마쳤다.
네패스아크는 지난 3분기에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391억6223만원으로 전년동기 301억3136만원 대비 30%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42억6609만원으로 전년동기 79억8200만원 대비 46.6%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58억8230만원으로 전년동기 67억4403만원 대비 13% 감소했다.
네패스아크는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한다. 네패스아크가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주요 제품군으로 △전력반도체(PMIC)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SoC(System on Chip/ex.Application Processor) △RF(Radio Frequency) 등이 있다. 2021년 하반기 FOPLP공정으로 패키지된 제품의 테스트가 시작되었으며, 이미지센서 테스트로의 진입을 준비 중이다. 네패스아크는 신규 공장 건축 1건 총 631억원이 진행중이며 신규시설투자가 2021년~2022년 기간 동안 진행 될 예정이다.
증권가에서는 지난 18일 네패스아크에 대해 다소 긍정적인 리포트를 내놓고 있다. BNK투자증권은 3분기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장기 성장성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지만 목표주가는 기존 4만3000원에서 3만8000원으로 11.6% 하향했다.
이민희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3분기에 당사 예상치 대비 매출액은 4%, 영업이익은 41% 하회했다”며 “모바일 수요 악화로 가동률이 하락한 가운데, 계속된 설비투자 집행으로 감가상각비는 201억원(전분기 대비 13억원 증가)으로 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FO-PLP 신사업 역시, 생산능력 확대 지연과 수요 감소 영향으로 출하량이 월 1000장 이하 수준에 그쳐, 전분기 보다 소폭 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수요 부진이 지속되며 4분기 네패스아크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줄어들 것”이라며 “신공장 증설이 내년으로 연기될 것으로 보이며, 올해 계획된 1800억~1900억원의 설비투자 규모도 1600억원 이하로 축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FO-PLP 생산 설비도 연말 월 5000장 수준으로 증설하려던 계획이 연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밸류에이션과 관련, 그는 “현재 네패스아크의 주가는 산업 성장성 기대가 없어져 낮은 밸류에이션을 보인다”며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사업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 계획을 고려하면 네패스아크의 장기 성장성은 기대할만하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