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41.7%→2021년 28.4%…CEO 최다 배출 전공은 서울대 경영

국내 1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에서 명문대로 지칭되는 SKY(서울·고려·연세대) 대학 출신 최고경영자(CEO) 비율이 작년보다 더 하락해 28%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제공=유니코써치]
국내 1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에서 명문대로 지칭되는 SKY(서울·고려·연세대) 대학 출신 최고경영자(CEO) 비율이 작년보다 더 하락해 28%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제공=유니코써치]

[데일리인베스트=민세진 기자] 국내 1000대 기업 중 우리나라에서 명문대로 지칭되는 SKY(서울·고려·연세대) 대학 출신 최고경영자(CEO) 비율이 작년보다 더 하락해 28%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11년 41% 수준이던 것과 비교하면 SKY 출신 CEO는 10년 새 10%포인트 넘게 줄었다. 특히 CEO를 가장 많이 배출하고 있는 서울대 출신 비중은 해를 거듭할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는 ‘2021년 국내 1000대 기업 CEO 출신대 및 전공 현황 분석’ 결과에서 이같이 도출됐다고 17일 밝혔다. 조사 대상 1000대 기업은 상장사 매출액 기준이고, CEO는 반기보고서 기준 대표이사(代表理事) 직위를 유지하고 있는 등기임원(사내이사)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000대 기업 CEO 출신대 현황 조사 대상자는 1439명이다. 이중 서울대 출신은 203명(14.1%)으로 가장 많이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고려대(110명, 7.6%), 연세대(96명, 6.7%) 순으로 다수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 가지 눈여겨볼 대목은 통상적으로 서울대 출신 CEO가 고려대와 연세대를 나온 최고경영자를 합친 숫자보다 더 많은 ‘S>K+Y’ 공식이 올해 조사에서는 깨졌다는 점이다. 1000대 기업에서 서울대 출신 CEO는 고려대와 연세대를 나온 최고경영자를 합친 숫자보다 많았는데 올해는 역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출신 CEO가 점차 줄고 있다는 방증이다. 실제 1000대 기업 내 서울대 출신 CEO 비중은 2019년 15.2%였는데 작년에는 14.9%로 낮아졌다. 올해는 14.1%로 작년 대비 0.8%포인트 더 하락했다.   

올해 조사된 200명이 넘는 서울대 출신 경영자 중에서는 1964년생이 22명으로 최다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표적으로 삼성물산 한승환 사장(정치학), KT 구현모 사장(산업공학), CJ ENM 강호성 대표이사(법학), 한진 류경표 대표이사(경영학), 롯데정밀화학 정경문 대표이사(화학), NH투자증권 정영채 대표이사(경제학), 하림 박길연 대표이사(축산학) 등은 올해 58세로 동갑내기이면서 서울대를 나온 동문이라는 공통분모를 갖고 있다. 

고려대 출신 중에서는 1963년생이 11명으로 가장 많이 활약 중이다. 이중 한국금융지주 김남구 회장을 비롯해 SK하이닉스 박정호 부회장, 아시아나항공 정성권 대표이사 등은 동갑내기이면서 고려대 경영학도 출신이다. 또 삼성화재 최영무 사장(생명공학), CJ씨푸드 이인덕 대표이사(축산학), 유진증권 유창수 부회장(사회학) 등도 올해 59세이면서 고려대를 나온 최고경영자 그룹에 속했다.  

연세대도 서울대와 동일하게 1964년생 CEO가 10명으로 최다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중 삼성생명 전영묵 사장과 대우건설 정항기 대표이사는 같은 대학 경영학과를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매일유업 김선희 대표이사(불어불문학), 진에어 최정호 대표이사(응용통계학), LX인터내셔널 윤춘성 대표이사(지질학) 등도 1964년생이면서 연세대를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조사된 1000대 기업에서 SKY 출신 CEO는 28.4%(409명)로 작년 29.3%보다 0.9%포인트 수준으로 낮아졌다. 지난 2011년 41.7%였을 때와 비교하면 10년 새 SKY CEO 비중이 13.3%포인트나 줄어든 것이다. 지난 2007년 59.7%와 비교해보면 31.3%포인트 넘게 감소했다. 과거 재계에서 10명 중 6명꼴로 SKY대 출신이던 비중이 지금은 3명도 채 되지 않은 셈이다. 특히 지난 2008년 이후 40%대를 유지해오던 SKY 대학 출신 최고경영자는 2013년에 39.5%로 처음으로 30%대로 낮아졌다. 이후 2019년에는 29.4%로 처음으로 30% 밑으로 감소했다. 2019년 이후 지금까지 30% 미만을 유지해오고 있다. 

 

올해 1000대 기업 CEO 출신대를 살펴보면 서울대 출신이 203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대(110명), 연세대(96명)가 뒤를 이었다. [자료제공=유니코써치]
올해 1000대 기업 CEO 출신대를 살펴보면 서울대 출신이 203명으로 가장 많았고, 고려대(110명), 연세대(96명)가 뒤를 이었다. [자료제공=유니코써치]

2021년 올해 조사에서 SKY 대학 다음으로는 △한양대(77명) △성균관대(47명) △부산대(37명) △중앙대(35명) △서강대(33명) △한국외국어대(31명) △경북대(26명) △경희대(25명) △영남대(23명) △건국대(20명) 순으로 20명 이상 CEO를 다수 배출시킨 대학군에 이름이 올랐다. 

서울·경기권을 제외한 지방대 중에서는 부산대가 가장 많은 CEO를 배출한 가운데 경북대와 영남대도 20명 이상 되는 CEO를 배출하며 지방 CEO 명문대의 위상을 선명히 보여줬다. 이외 지방대 중에서는 동아대(15명), 전남대(10명), 경남대·충북대(각 8명), 전북대(7명) 순으로 CEO가 비교적 많이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조사에서 1000대기업 CEO 대학별 전공 현황 중 이공계 출신 비율은 작년(46.4%)와 비슷한 46.5%로 나타났다. 연도별 1000大기업 CEO 이공계 출신 비율은 2011년 43.9%→2012년 44.4%→2013년 45.3%→2019년 51.6%로 증가 추세를 보여 오다가, 작년과 올해에 50% 미만으로 떨어졌다. 

이러한 배경에는 여전히 국내 최고경영자 중에서는 경영 및 경제학도 등 상경계열 전공자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 대상자 중 학부 전공까지 파악 가능한 CEO(919명 대상) 중 경영학도 출신은 22.3%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학도 7.4% 순으로 높았다. 두 전공자 숫자만 해도 30%에 육박할 정도로 CEO 사이에 인기를 끄는 전공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조사 대상자 중 학부 전공까지 파악 가능한 CEO(919명 대상) 중 경영학도 출신이 22.3%로 가장 많았다. [자료제공=유니코써치]

특히 경영학도 중에서는 SKY 3곳의 경영학과를 나온 CEO는 모두 98명(6.8%)으로 집계됐다. 이중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이 36명으로 가장 많아 CEO 최고 요람지의 아성을 지켜냈다. 이어 고려대 경영학과 연세대 경영학가 각 31명으로 대등한 수준을 보였다. 3개 대학 경영학과 간 최고경영자 숫자 편차가 크지 않아 향후에도 CEO 최고 요람지를 놓고 치열한 자존심 경쟁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영학과 및 경제학과에 이어 이른바 전화기(전자·화학·기계공학) 학과로 통하는 전자공학(6.2%), 화학공학(6.5%), 기계공학(7.4%) 전공자도 20%를 넘어섰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김기남 부회장은 서울대 전자공학, 농심 신동원 회장은 고려대 화학공학,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은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전화기 CEO 그룹에 속했다.   

김혜양 유니코써치 대표는 이번 조사와 관련 “과거에는 인재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 등이 많지 않다 보니 출신 학교와 같은 스펙 등을 중요한 기준으로 여겼지만 최근 산업계는 융합이 대세로 자리매김하다 보니 단순히 어느 학교 출신인지 하는 1차원적 기준보다는 무엇을 얼마나 잘 할 수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분위기가 강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일리인베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