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이 건조 인도한 저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 적용 LNG운반선의 운항 모습.(사진출처=대우조선해양)
대우조선해양이 건조 인도한 저압엔진용 완전재액화시스템 적용 LNG운반선의 운항 모습.(사진출처=대우조선해양)

 

국내 조선업계의 개편이 이뤄질 전망이다.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위해 팔을 걷어 붙였고, 현대중공업도 대후조선해양 인수를 원하고 있다. 일단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합병(M&A)을 위한 판은 깔렸다.

31일 M&A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M&A 관련 조건부 MOU를 체결했다.

산업은행은 현대중공업과 MOU 체결했지만 절차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삼성중공업 측에도 인수의사 확인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삼성중공업이 거래 제안을 할 경우 평가절차에 따라 인수 대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제안요구서는 이날 중으로 전달될 예정이다. 다만 MOU를 체결했다는 점에서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품게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게 M&A업계의 평가다.

대우조선해양 M&A는 일반적인 방식과 다르게 진행된다. 산업은행이 보유한 대우조선해양 지분의 현물출자와 인수자의 대우조선해양 앞 유상증자 등이 복합된 구조다.

현대중공업이 산업은행 보유 대우조선 보유 지분을 현금 매입하는 대신, 계열 조선사를 총괄하는 현대중공업지주사를 설립하기로 했다. 산은은 대우조선 지분을 현물 출자한 뒤 지주사 신주를 받아 주주로 참여한다. 산은은 대우조선에 대해 제3자배정 유상증자로 1조5000억원을 지원하고, 자금이 부족할 경우 1조원을 추가 지원한다.

이렇게 되면 지주사는 현대중공업, 삼호중공업, 미포조선, 대우조선을 거느리게 된다.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에 대해 2조5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해 재무구조 개선과 유동성 확보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3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우조선해양의 M&A는 지분의 현물출자와 인수자의 대우조선해양 앞 유상증자 등이 복합된 복잡한 거래 구조를 띠고 있어, 공개매각 절차로 거래를 추진하기는 불가능했다했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일단 산업은행과 합작해 신설하는 중간지주회사인 조선합작법인을 사업법인에서 물적 분할한다. 분할한 조선합작법인은 상장회사로 남고 사업법인의 명칭은 현대중공업으로 비상장회사가 된다. 조선합작법인은 현물출자를 받는 대우조선 주식의 대가로 상환전환 우선주 1조2500억원과 보통주 600만9570주를 발행한다.

현대중공업은 현물출자 유상증자 과정에서 교환 비율은 30일 종가로 산정된 발행가 기준으로 확정해 거래를 추진한다. 조선합작법인의 신주확정 발행가는 주당 13만7088원이다. 대우조선해양 주식 현물출자 확정가액은 주당 3만4922원이다.

현대중공업의 대우해양조선 M&A가 성사되고 대규모 구조조정은 없을 전망이다. 이동걸 회장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모두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해 왔기 때문에 인력 구조조정은 마무리 단계"라며 "여기서 인력 구조조정이 계속될 경우 조선산업의 장기적 성장을 저해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모두 상당한 물량을 확보한 상태라 인위적인 구조조정을 강행할 필요성은 낮은 상태"라며 "조선 산업을 장기적으로 생각해 M&A가 성사되면 우수인력 유치와 고용인력 유지에 매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1978년 대우조선공업주식회사로 설립된 뒤 2000년 대우그룹 해체, 워크아웃 등을 겪었다. 2001년 워크아웃 졸업 이후에는 산업은행이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산업은행은 2008년 대우조선해양의 매각을 추진, 한화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으나 협상이 결렬되며 매각에 실패 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데일리인베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