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뉴스] 2026년 대기업 인사는…70년대생 고위 임원·80년대생 임원 진출

30대 후반~40대 초반 젊은 인재의 임원 발탁 확대

2025-11-19     권보경 기자
19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올해 연말과 내년 초 단행되는 대기업 임원 인사 지형의 특징을 ‘칠전팔기, 삼말사초, 삼별초, 외유내강, 연기금’ 등으로 정리해 발표했다. [사진출처=한국CXO연구소]

[데일리인베스트=권보경 기자] 2026년 국내 대기업 임원 인사는 1970년대생이 고위 임원으로 전진 배치되고 1980년대생이 임원으로 기용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올해 연말과 내년 초 단행되는 대기업 임원 인사 지형의 특징을 ‘칠전팔기, 삼말사초, 삼별초, 외유내강, 연기금’ 등으로 정리해 발표했다.

내년 대기업 임원 인사의 가장 두드러진 흐름은 ‘칠전팔기’다. 이는 1970년대생이 사장·부사장 등 고위 임원으로 대거 전진 배치되고, 1980년대생의 첫 임원 기용이 더욱 확대된다는 의미다.

현재 100대 기업 임원의 약 70%는 1970년대생으로, 이미 재계의 중추 세력이다. 이런 가운데 이들이 올해 말·내년 초 인사에서 부사장·사장 등 고위 임원으로 승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 3분기 보고서 기준 1970년대생 사장은 3명이고, 부사장 320명 중 1970년대생 비중은 61%에 달한다. 이 중 7%가 1975년 이후 출생자다. SK그룹은 부사장급에서 70년대생 비중이 현재 20% 내외로, 2026년에는 30%대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차는 지난 3분기 보고서 기준 부사장 중 32%가 1970년대생인데, 내년에 40%대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말사초’는 30대 후반~40대 초반 젊은 인재의 임원 발탁이 확대된다는 의미다. 올해 기준으로 1982년~1989년생인데, 현재 국내 100대 기업에서 약 100명이 활동하고 있다. 2026년에는 젊은 세대 임원층이 두터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삼별초’는 30대에 임원 반열에 오른 인재이다. 1986~1989년생이 삼별초 후보군이다. 삼성전자, 네이버, SK텔레콤 등에서 이미 다수의 30대 임원을 꾸준히 배출해왔다. 최근 CJ그룹에서 30대 임원이 5명 등장해 세대교체 흐름을 가속화됐다. 2026년 인사에서도 30대 임원 발탁 가능성이 매우 높다.

‘외유내강’은 국적과 배경을 막론하고 기업 내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능한 외부·외국인 인재를 적극 영입한다는 의미다. 특히 인공지능·테크(AI·Tech) 기반의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면서 △유학파 출신 한국인 인재 △글로벌 기업 경력자 △우수 외국인 전문가 등을 임원으로 발탁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연기금’은 연구·기술 분야의 금쪽같은 인재로, 기업의 미래 먹거리를 창출할 R&D 이공계 기반 우수 인재이다. 인공지능(AI), 데이터, 바이오 등 첨단 산업 확대로 인해 국내 기업들은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포항공대(POSTECH) 등과 같은 이공계 특성화 대학 출신 인재를 중심으로 ‘연기금 확보전’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발탁과 승진을 포함해 2026년 대기업 임원 인사 폭은 지난해보다 감소하고, 경영 효율성 차원에서 전체적인 임원 자리도 줄어들 수 있다”면서도 “다양성 강화 차원에서 여성 임원은 더 늘리고, 안전과 환경을 포함해 ESG 관련 임원 자리는 예전보다 더 많이 늘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