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뉴스] 삼성, 지난해 매출 400조원 달성…2022년 이후 가장 높아

한국CXO연구소, 지난해 삼성 계열사 21곳 별도 매출 현황 조사 매출 규모 397조~402조원 예상…삼성전자·삼성중공업 매출 20%↑

2025-03-20     권민서 기자
2000년 이후 삼성그룹 전체 매출 변동 현황 [자료제공=한국CXO연구소]

[데일리인베스트=권민서 기자] 지난해 삼성그룹 국내 계열사 전체 매출이 400조원 내외 수준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22년 418조원을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규모다. 특히 삼성전자와 삼성중공업의 매출이 20%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삼성전자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2022년 대비 절반 수준을 기록했다.

20일 한국CXO연구소는 삼성그룹 창립 87주년을 맞이해 ‘주요 삼성 계열사 2024년 매출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은 60곳 이상의 계열사 중 매출 확인이 가능한 21곳이며 매출은 별도 기준이다. 이에 따르면 주요 삼성 계열사의 지난해 매출 규모는 388조원이었다. 아직 공시되지 않은 40여곳의 매출까지 합치면 전체 규모는 397조~402조원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역대 두 번째로 높은 매출 체격이다.

삼성전자의 매출은 209조원으로 2022년 기록한 211조원에 근접했다. 지난해 연결 매출도 300조8709억원으로 2022년 302조2313억원 이후 가장 높았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매출 10조 클럽에는 7개 계열사가 진입했다. △삼성생명보험 27조174억원 △삼성디스플레이 25조4014억원 △삼성물산 22조9132억원 △삼성화재 21조9664억원 △삼성SDI 16조978억원 △삼성증권 12조9366억원 순이다. 

매출 1조 클럽 계열사 중 전년 대비 매출이 10% 이상 뛴 곳은 7곳으로 조사됐다. 특히 삼성중공업은 9조8674억원으로 전년 7조9072억원 대비 24.8% 증가했으며, 연결 기준 매출도 8조94억원에서 9조9030억원으로 23.6% 상승했다. 삼성전자 역시 170조3740억원에서 209조522억원으로 22.7% 상승했다. 전년 대비 38조6781억원 이상 증가해 삼성 계열사 중에서는 가장 규모가 컸다.

△삼성바이오로직스 19% △호텔신라 18.1% △삼성웰스토리 11.9% △삼성전기 11.8% △제일기획 11.6% △삼성화재 8.1% △삼성E&A 7.7% △에스원 7.5% △삼성생명 6.7% △삼성SDS 5.4% △삼성전자판매 5.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삼성SDI는 매출이 16조978억원으로 전년 19조1063억원 대비 15.7% 줄었다. 연결 기준 매출은 더 하락했다. 2023년 21조4367억원에서 2024년 16조5922억원으로 22.6% 하락했다. 삼성물산과 삼성디스플레이도 각각 6.4%, 6.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2024년 삼성전자 연결 및 별도 기준 영업이익률 변동 추이 [자료제공=한국CXO연구소]

삼성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의 최근 1년 영업손익은 지난해 흑자로 돌아섰다. 2023년 11조원 적자에서 2024년 영업이익 12조3610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영업이익률은 5.9% 수준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2023년을 제외하면 2015년 이후 가장 낮았다. 비슷한 매출 외형을 기록했던 2022년 12%와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다. 영업내실은 큰 차이를 보인 셈이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삼성의 국내 계열사 매출이 500조원 시대를 열려면 현재의 사업구조로는 향후 5년 내 달성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기존 사업 이외에 괄목할 만한 신사업 육성이 절실하다”며 “삼성으로서는 매출 외형 성장과 함께 고부가가치의 영업내실을 탄탄히 다져나가는 것도 각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에게 중요한 과제로 남겨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