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뉴스] 주식종목 10곳 중 7곳 시총↓…3분기 시총 189조원 감소
한국CXO연구소, 2024년 3분기 2700여곳 주식종목 시가총액 변동 조사 결과 시총 2621조원에서 2432조원으로 하락…1조클럽 중 보로노이 상승률 100%↑
[데일리인베스트=권민서 기자] 올해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이 200조원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종목 10곳 중 7곳 꼴로 시총 외형이 하락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총 1조 클럽 종목 중 보로노이가 유일하게 시총 상승률 100%를 넘어섰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시총이 10조원 이상 불었다.
7일 한국CXO연구소는 ‘2024년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우선주를 제외한 2720곳이고, 지난 6월28일과 9월30일 종가 기준 시총과 순위 등을 비교했다.
2700곳 이상의 국내 상장 주식종목 중 시총이 감소한 곳은 전체의 70.7%인 1924곳이다. 시총이 증가한 곳은 24.9%(678곳)에 그쳤다. 올해 3분기 시총 외형이 커진 종목보다 감소한 곳이 배 이상 많아진 것이다.
9월 기준 전체 시총 규모는 2432조원이다. 지난 6월 2621조원 대비 189조원 하락했다. 시총 하락률은 7.2% 수준으로, 삼성전자·SK하이닉스·기아 등 대장주들의 시총이 10조원 이상 감소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시총 1조 클럽은 259곳으로, 지난 6월 273곳 대비 14곳 줄었다. 이런 상황에서 분기에 시총 외형이 1조원 이상 증가한 종목은 총 21곳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76조4010억원에서 96조9930억원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51조7434억원에서 69조5369억원으로 증가했다.
이외 3조원 이상 증가한 종목은 △유한양행(4조9488억원↑) △셀트리온(4조5840억원↑) △신한지주(3조7440억원↑) △HLB(3조5831억원↑) △고려아연(3조5816억원↑) △메리츠금융지주(3조4329억원↑) △에코프로머티(3조391억원↑) 등이 있다.
반면, 삼성전자는 486조5372억원에서 367조1416억원으로 3개월 새 120조원 가까이 외형이 줄었다. 이외에도 시총이 1조원 이상 줄어든 곳은 23곳 더 있다. SK하이닉스(45조633억원↓), 기아(11조7558억원↓), 현대차(10조6802억원↓) 등이다.
올해 3분기 시총 톱100 중 91곳의 순위가 변동됐다. 특히 한진칼은 93위에서 64위로 가장 상승률이 높았으며, 현대로템(89위→63위)과 미래에셋증권(92위→72위)도 각각 26계단, 20계단 전진했다. 한미약품은 112위에서 92위로 톱100에 재입성했으며, HD현대미포(101위→97위)와 삼성증권(110위→100위)도 순위권 내로 올라섰다.
톱20은 △삼성전자(1위) △SK하이닉스(2위) △LG에너지솔루션(3위) △KB금융(8위) △POSCO홀딩스(9위) △LG화학(13위) △현대모비스(15위) △포스코퓨처엠(16위)를 제외한 나머지 12곳의 순위가 변동됐다. 삼성생명(17위), 메리츠금융지주(18위), 알테오젠(20위)가 처음으로 순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1조 클럽 256개 주식종목 중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큰 종목은 제약 관련 코스닥 상장 기업 보로노이다. 지난 6월 8685억원에서 9월 1조7551억원으로 102.1%의 상승률을 보였다. 유한양행은 6조4889억원에서 11조4378억원으로 상승했고, 대웅은 8953억원에서 1조3663억원으로 외형이 커졌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올해 3분기 국내 시총 외형은 지난 1분기와 2분기 때보다 더 하락해 최근 3개월 새 국내 주식시장은 전체적으로 먹구름으로 가득했다”며 “이런 상황에서도 제약·바이오를 비롯해 금융과 조선 관련 업종의 주식종목은 시총이 오른 곳이 많아 다소 선전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