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뉴스] 국내 주요 그룹 총수 33명 주식재산 1분기에만 3조 올라
한국CXO연구소,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올 1분기 총수 33명 중 80% 주식가치 증가…작년 동기간 60% 감소와 대조
[데일리인베스트=이승주 기자] 국내 33개 주요 그룹 총수의 주식가치가 올해 1월 초 대비 3월 말 기준 1분기에만 3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 1분기에도 국내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0조 클럽에는 삼성 이재용 회장만 이름을 올렸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3년 1월 초 대비 3월 말 기준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집단 중 올해 3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그룹 총수 33명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33개 그룹 총수의 지난 1월 초 주식평가액은 46조4475억원이었는데, 지난 3월 말에는 49조8096억원으로 올랐다. 최근 3개월 새 7.2%(3조3621억원) 증가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33명의 주식재산이 7.5% 하락했던 것과 대비된다.
주식재산이 증가한 총수도 눈에 띄게 많아졌다. 올해 1분기에는 33명 중 27명이나 주식평가액이 상승했고, 6명만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33개 그룹 총수 중 20명이나 주식재산이 하락했다.
올해 1분기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하림 김홍국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김홍국 회장이 하림지주, 하림, 팜스코 3곳에서 보유한 주식평가액은 올해 1월 초 1765억원에서 지난 3월 말에는 3832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주식가치가 117.1%나 올랐다.
증가액이 가장 컸던 총수는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범수 센터장은 올 1분기에만 5조6000억원대에서 6조5000억원대로 최근 3개월 동안 주식재산이 8875억원 이상 불었다. 같은 기간 삼성 이재용 회장도 5527억원 이상 주식평가액이 증가했다.
지난해 3월말 기준 조사 대상 33개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조 클럽에는 11명이 입성했다. 1위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12조1497억원)이 차지했다. 2위는 셀트리온 서정진 공동의장(7조 9832억원), 3위는 카카오 김범수 창업자(6조5005억원) 순으로 꿰찼다.
4~6위권에는 각각 4위 현대차 정의선 회장(3조1169억원), 5위 아모레퍼시픽 서경배 회장(2조 6080억원), 6위 SK 최태원 회장(2조2401억원), 7위 LG 구광모 회장(2조78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8~10위는 주식재산 1조원대였다. 8위 넷마블 방준혁 의장(1조3743억원), 9위 CJ 이재현 회장(1조3397억원), 10위 네이버 이해진 GIO(1조2382억원) 순으로 이름을 올렸다. 이외 1조 클럽에는 HD현대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1조2207억원)도 포함됐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연구소장은 “작년 1분기 때와 비교해 올 동기간 주식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는 것은 감지됐다”면서도 “지난해 주식시장이 큰 폭으로 하락하다 보니 이를 점차 회복하는 수준에서 서서히 오르고 있을 뿐, 향후 올해 실물 경제 흐름이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주식시장도 다소 요동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