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뉴스] 하락장 속 기업총수 33명 주식재산 19조원 증발
한국CXO연구소, 3분기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3분기에만 주식가치 6조 넘게 감소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유일하게 주식재산 '10조 클럽' 유지
[데일리인베스트=이지은 기자] 주가 하락 여파로 올 3분기까지 국내 33개 그룹 총수의 주식 재산이 19조원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그룹 총수 중 유일하게 주식재산 10조원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4일 ‘2022년 3분기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앱 변동 조사’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 집단 총수 33명의 주식 평가액 변동 현황을 분석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33개 그룹 총수의 주식 평가액은 올해 초 64조6325억원에서 1분기 말 59조7626억원, 2분기 말 51조4463억원, 3분기 말 45조7034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연초와 비교하면 18조9291억원(29.3%) 감소한 수준이다.
주식 재산이 조 단위로 감소한 총수는 6명으로 조사됐다.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가 보유한 주식의 평가액은 연초 12조2269억원에서 9월 말 6조933억원으로 6조1335억원(50.2%) 줄었다. 최대주주로 있는 카카오 주가가 올해 들어 9월 말까지 50% 가까이 하락하면서 그의 주식 재산도 반토막이 났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주식 평가액도 연초 14조1866억원에서 9월 말 10조8841억원으로 3조3000억여원 감소했다.
또 같은 기간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의 주식 가치도 2조6430억원에서 1조634억원으로 하락했으며,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 역시 2조3048억원에서 1조1861억원으로 줄어들었다.
이밖에도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3조2125억원→1조8674억원),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10조1864억원→9조73억원) 등도 주식 재산이 1조원 넘게 줄었다.
반면 33명 중 4명은 하락장에도 주식 재산이 늘어났다. 신동빈 롯데 회장의 주식 평가액은 연초 6943억원에서 9월 말 8059억원으로 증가했다. 신 회장이 보유한 롯데지주 보통주 주가가 연초 2만9850원에서 9월 말 3만8300원으로 28% 이상 오른 영향이 컸다.
장형진 영풍 회장(4049억원→4679억원), 이순형 세아 회장(1116억원→1449억원),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1조1262억원→1조1367억원) 등의 주식 재산이 늘었다.
9월 말 기준 33개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조 클럽’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등 10명이 이름을 올렸다. 올 1월 초와 비교하면 2명이 줄어들었다.
이재현 CJ 회장은 9월 말 기준 주식재산이 9150억원으로 1조 클럽에서 탈락했다. 조현준 효성 회장도 6786억원으로 1조 원 클럽에서 멀어졌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그룹 총수의 주식 재산은 올 초 대비 지속해서 줄어드는 상황”이라며 “내년은 올해보다 경영 여건이 더 불안정해 4분기에도 주가 반등의 기회를 찾을 가능성이 뚜렷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그는 “특히 IT기업 그룹 총수들이 보유한 주식종목들이 올 연말에 3분기 때보다 더 떨어질 경우 국내 주식 시장에 대한 불신은 더욱 팽배해져 향후 개미 투자자들의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