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뉴스] 억대 급여 받는 사외이사 늘어… "정부 고위직 진입 영향"
한국CXO연구소, 300대기업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분석 대기업 300곳 작년 사외이사 평균 보수 5410만원…1년 전보다 10%↑
[데일리인베스트=김지은 기자] 국내 주요 300대 기업에 속한 사외이사에게 연간 평균 1억 원이 넘는 보수를 주는 곳은 지난 2019년 3곳에서 작년엔 10곳으로 대폭 늘어났다. 장·차관 출신이 기업 사외이사로 대거 진출하면서 보수 수준이 함께 올라갔다는 분석이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같은 골자의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의 2019년과 2021년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현황 분석’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300대 기업은 15개 주요 업종의 매출 상위 20개 기업이다.
지난해 국내 300대 기업에서 활약한 사외이사 인원은 모두 981명이다. 2019년 987명보다는 6명 줄었다. 보수와 관련해 사외이사는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을 따로 맡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그룹으로 나뉘었다. 지난해 기준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는 640명으로 전체의 65.2%를 차지했다.
사외이사 981명에게 지급한 지난해 연간 보수 총액은 약 530억원이다. 사외이사 한 명에게 지급한 2021년 연간 평균 보수 금액은 5410만원 수준으로, 2019년(4880만원)보다 10.9% 늘었다.
같은 대기업 사외이사 타이틀을 갖고 있더라도 기업별 급여 수준은 차이가 났다. 지난해 기준으로 1000명 내외 수준의 사외이사 중 억대 이상 보수를 받은 인원은 비율은 5.6%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간 보수액이 2000만원 미만인 비율은 6.6% 수준이었다.
또 9000만원대(9000만~1억원 미만) 4.9%, 8000만원대 11%, 7000만원대 10.5%, 6000만원대 9.4%, 5000만원대 10%, 4000만원대 12.5%로 나타났다. 3000만원대는 16.5%로 가장 많았고, 2000만원대는 13%였다.
사외이사에게 가장 많은 보수를 준 기업은 삼성전자였다. 이 회사는 6명의 사외이사에게 9억원에 가까운 보수를 지급했다. 1인당 1억4750만원을 지급한 셈이다. 이어 SK이노베이션(1억2240만원), SK텔레콤(1억2220만원), SK하이닉스(1억1730만원), 한샘(1억1400만원), 삼성물산(1억1330만원), 네이버(1억580만원), 현대모비스(1억540만 원), KT(1억330만원), 현대자동차(1억250만원) 순이었다.
주요 업종별 사외이사 보수는 전자 업종에 있는 사외이사 58명이 평균 7452만원을 받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어 유통상사 7277만원, 석유화학 6927만원, 정보통신 6604만원, 자동차 6410만원 순이다. 5000만원대 업종군에는 금융 5877만원, 철강 5478만원, 건설 5400만원 순이었다.
반면 패션 업종은 3070만원으로 조사 대상 주요 업종 중 가장 낮았다. 고무·플라스틱 업종도 지난해 평균 3934만원으로 사외이사 보수가 3000만원대 수준이었다.
이번 조사와 관련해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연구소장은 “사외이사에게 지급하는 보수 수준은 업종과 기업 규모 등에 따라 편차가 큰 게 현실”이라면서 “특히 최근에는 장차관급 이상을 지낸 거물급을 비롯해 판검사와 정부 부처에서 요직을 역임한 인사들이 대기업 사외이사로 진출하면서 이들의 보수 수준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사회를 견제하는 사외이사 고유의 취지를 감안하면 ‘방패이사’라는 오명을 줄여나가기 위해서라도 정부 고위직 출신 인사들을 점차 줄여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