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뉴스] 2분기 총수 주식재산 성적표, 김범수 '맑음'·서정진 '흐림'
한국CXO연구소, 국내 50대 그룹 총수 3월말 대비 6월말 기준 올해 2분기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김범수 카카오 의장 3개월 새 3조5000억원 증가…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은 3000억원 줄어
[데일리인베스트=민세진 기자] 50대 그룹 총수의 지분가치가 3월말 48조5000억원 수준에서 6월말 60조8000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20% 넘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동안 김범수 카카오 의장은 3조5000억원 이상 주식재산이 불었지만 서정진 셀트리온 명예회장은 3000억원 넘게 감소해 대조를 보였다.
또 올해 2분기에 주식재산 ‘1조 클럽’에 가입한 국내 50대 그룹 총수는 13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올해초 11명 보다 많아진 숫자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1년 2분기 국내 50大 그룹 총수 주식재산 변동 분석’ 결과에서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71개 기업 집단 중 자연인(개인)을 동일인으로 지정한 50개 그룹 총수 50명이다. 주식평가액 산정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에 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평가액 산출은 보통주(우선주 제외) 주식 수에 올 3월31일과 6월30일 기준 종가(終價)를 각각 곱한 값으로 계산했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50대 그룹 총수 중 상장사 주식을 보유한 숫자는 38명이었다. 이들 38명 그룹 총수의 올 3월말 주식평가액은 총 48조5361억원이었다. 이후로 3개월이 흐른 지난 6월말에는 60조8057억원으로 25% 넘게 주식재산이 증가했다. 올해초 45조280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총수들의 주식평가액은 상반기에만 30% 이상 급증했다.
50대 그룹 총수 중 2분기 기준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3월말 1800억원이던 주식가치가 6월말에는 2900억원으로 62.6%나 상승했다.
같은 기간 김범수 의장 역시 6조600억원에서 9조6300억원 수준으로 지분가치가 높아졌다. 김 의장은 주식평가액 증가액이 3조5000억원 넘게 늘었다. 50개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증가액 중 가장 컸다.
반면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은 3월말 5400억원 정도이던 주식재산이 6월말에는 4400억 원으로 900억원(17.4%) 이상 감소했다. 서정진 명예회장도 2조3100억원에서 2조원대 초반으로 3000억원(13.2%↓) 넘게 주식평가액이 줄었다.
한편 6월말 기준 50대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조 클럽’에 가입한 인원은 13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월초 11명, 3월 말 12명보다 더 많아진 숫자다. 6월말 기준 그룹 총수 주식재산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었다. 이 부회장의 주식재산은 15조5500억원을 넘었다. 김범수 의장은 9조6300억원 이상으로 2위를 차지했다. 3~5위에는 각각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4조 6400억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4조2100억원), 최태원 SK그룹 회장(3조6600억원)이 톱 5에 포함됐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코로나19가 본격 발생하기 시작한 지난해는 상반기에 주식재산이 감소한 그룹 총수가 많았지만 올해는 거꾸로 증가한 경우가 많아져 1년 새 상황이 역전됐다”며 “특히 국내 50대 그룹 총수 중에는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초반 출생자들이 많은데 이들의 경영 능력에 따라 향후 국내 주식부자 판도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