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픽사베이 제공]
[사진 = 픽사베이 제공]

 

국내 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유형이 과거 '중국, 제조업, 신규공장설립형' 투자에서 '미국, 금융보험업, 지분인수형 M&A' 중심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렴한 인건비 등을 앞세워 해외로 나서고 있는 제조업의 주력 투자국도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 22일 국내 해외직접투자 추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對중국‧제조업‧그린필드형(신규공장설립형)’ 투자가 줄어들고, ‘對미국‧금융보험업‧M&A형’ 투자가 늘어났다.


해외투자금액중 對중국 투자액 비중은 2005년 39.4%에서 2017년 6.8%까지 떨어졌지만 같은 기간 對미국 투자는 17.2%에서 35%까지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2005년 해외직접투자의 56.5%을 차지했던 제조업 비중이 지난해 18.0%까지 떨어지면서 2016년 역전되었던 금융·보험업(31.2%)과의 격차가 심화됐다.  (표-1 참조)

 


최근 들어 국내 기업들이 해외현지의 기존 법인 지분을 인수하는 M&A형 투자가 급증한 것도 특징이다. M&A형 해외직접투자는 2005년 11.5%에 그쳤으나 지난해에는 절반 수준인 47.1%로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신설법인설립은 87.2%에서 52.3%로 줄었다. (표-2 참조)

 


제조업의 경우 해외직접투자 대상국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겨가고 있다. 2000년대 우리나라 제조업 해외직접투자액의 44.5%를 차지했던 중국의 비중은 지난해 27.6%로 축소됐고, 1990년대 3.7%에 불과했던 베트남이 17.7%까지 확대됐다. (표-3 참조)

 


제조업 투자 업종도 변하고 있다. 베트남 투자는 과거 섬유제품(28.3%)과 전자부품(26.3%) 두 업종이 절반이상을 차지했지만 최근 전자부품(29.8%)의 비중 확대와 더불어 의복(10.1%), 섬유(8.6%), 고무제품(7.4%), 전기장비(6.0%) 등으로 투자 업종이 다변화됐다.


한국 제조업 해외투자의 중심지가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동하는 것은 양국의 외국인투자 환경 및 정책 변화에 따른 것이란 게 한경연 측의 분석이다. 중국은 2008년부터 자국기업(33%)에 비해 유리했던 외자기업의 법인세율(15%~24%)을 첨단산업 등을 제외하고 25%로 단일화했다.

이밖에 저부가가치,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가공무역 관련 투자를 제한하면서 투자 금지·제한 품목을 확대하고, 중국 정부의 소득분배 개선 조치로 인해 최저임금 등 노동비용이 꾸준히 상승하는 것 등이 투자 환경 악화 요인으로 꼽혔다.

 

반면 베트남은 하이테크 산업분야에 대해 4년간 법인세 면제 혜택(이후 9년간 50% 감면)을 주고, 일반기업의 외국인 투자한도도 철폐했다. 특히 외국인 투자 가능분야 제한과 외국인의 베트남 내 부동산 취득요건을 완화하고, 임금수준이 중국의 1/2 수준주)으로 낮아 對베트남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한경연 측은 “중국 내 외투기업 우대 축소와 노동비용 상승 등으로 對중국 투자가 줄어들고, 각종 우대혜택을 늘리고 있는 베트남과 같은 신흥국으로의 과감한 투자가 늘고 있는 추세”라며 “글로벌 경기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 마련과 함께 규제 개혁을 통한 국내 투자 여건 개선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일리인베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